13.58.34.110
13.58.34.110
close menu
KCI 등재
선진국의 역사적 사례에 기초한 여성경제활동인구 변화 전망 : 인구구조 변화가 노동인력규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함의
Projecting Future Change in the Female Labor Force based on Historical Experiences of Other Developed Countries: Implications for the Effects of Changing Population Structure on the Size of the Workforce
이철희 ( Chulhee Lee ) , 김규연 ( Claire Kyu-yeon Kim )
UCI I410-ECN-0102-2021-300-000513096

이 연구는 장래의 우리나라 여성(25~54세) 경제활동참가율이 미국이나 일본의 역사적 경험을 따라 변화하는 경우 최근(2018년)의 경제활동참가율이 유지되는 경우에 비해 2065년까지 여성경제활동인구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추정하였다. 결과에 따르면 미국이나 일본의 역사적 사례에 기초한 시나리오가 실현되는 경우 25~54세 여성 경제활동인구가 2042년까지 각각 약 14%(약 797,000명) 및 15%(약 831,000명)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현재 경력단절현상이 심한 30대와 40대 초반 여성 경제활동인구가 큰 폭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연구의 결과는 비교적 가까운 장래에 인구변화로 인한 전체경제활동인구 감소효과가 크지 않을 것임을 시사한다. 일본의 사례를 적용한 시뮬레이션 결과는 여성경제활동을 증가시키기 위한 정책적인 노력이 인구구조변화가 노동시장에 미칠것으로 우려되는 잠재적인 영향에 대응하는데 있어서 적어도 가까운 장래에 있어서는 장년고용을 증가시키기 위한 노력에 비해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This study estimates how changes in the female (aged 25 to 54) 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 (LFPR) following the historical experiences of the US and Japan would alter the future trend of the femal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by 2065, compared to the case in which the LFPR as of 2018 will remain unchanged.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female labor force aged 25 to 54 will increase by 14% (about 797,000) and 15% (about 831,000), respectively, by 2042 if the female LFPR should change following the past trends of the US and Japan. In particular, the increase in the labor force is expected to be pronounced among females aged 30 to 44 who currently suffer high rates of job sever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trengthen the prediction that the on-going population changes will not reduce much the overall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in the near future. The result of a simulation based on the historical experiences of Japan suggests that, as least in the near future, policy efforts to encourage female labor supply will be more effective in alleviating the potential labor-market impacts of population changes, compared to policies aiming at increasing old-age employment.

Ⅰ. 서 론
Ⅱ. 방 법
Ⅲ. 여성 경제활동참가율 증가가 장래 경제활동인구 변화 추이에 미치는 영향
Ⅳ. 결론: 인구변화로 인한 노동인력감소 문제에 대한 함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