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ffective Attitudes Toward Economics Questionnaire (AAEQ)
I. 서 론 II. 연구방법 III. 연구방법 IV.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이 경제교과에 대해 가지는 정의적 태도의 구성요인을 도출하고 측정할 수 있는 평가도구(Affective Attitudes Toward Economics Questionnaire: AAEQ)를 개발하여 타당화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2학년 학생 203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고 788명을 대상으로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경제교과에 대한 태도를 흥미, 가치, 자아개념, 자아효능감의 4개 하위요인으로 구성하였으며 기존 문항을 수정하고 연구진에서 개발한 문항을 포함하여 문항풀을 구성하였다. 둘째, 개발한 문항에 대해 일련의 타당화 절차를 거쳐 26개의 최종문항을 확정하였다. 셋째, 타당도 검증에서는 신뢰도와 Rasch 모형 적합도, 확인적 요인분석모형의 적합도가 모두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련 변인과의 구조적인 관계를 분석하여 경제교과에 대한 태도 하위요인 중 흥미와 자아효능감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자아개념이 가지는 혼재된 효과에 대한 후속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main purpose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high school students’ affective attitudes toward economics questionnaire (AAEQ). To validate the AAEQ, 203 students in 11th grades participated in the pilot test and 788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main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the AAEQ comprises four sub-factors through the theoretical frameworks. The existing items were revised and the items pooled including the items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Second, a series of validation procedures were applied to the developed items and 26 final items were confirmed. Third, in the validity test, the fit of Rasch model and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odel were all good. The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 with related variables showed the importance of interest and self-efficacy among sub-factors of affective attitudes toward economic subjects. Finally, the necessity for further research on the mixed effects of self-concept was discussed.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
21권 4호 ~ 21권 4호 |
|
31권 4호 ~ 31권 4호 |
|
5권 2호 ~ 5권 2호 |
|
21권 6호 ~ 21권 6호 |
|
26권 2호 ~ 26권 2호 |
영유아교육.보육연구 |
13권 2호 ~ 13권 2호 |
|
70권 0호 ~ 70권 0호 |
|
36권 4호 ~ 36권 4호 |
D-수학교육연구 |
23권 4호 ~ 23권 4호 |
|
41권 2호 ~ 41권 2호 |
|
5권 2호 ~ 5권 2호 |
|
59권 4호 ~ 59권 4호 |
|
32권 3호 ~ 32권 3호 |
|
68권 4호 ~ 68권 4호 |
|
34권 4호 ~ 34권 4호 |
|
36권 4호 ~ 36권 4호 |
|
42권 4호 ~ 42권 4호 |
|
26권 4호 ~ 26권 4호 |
|
22권 4호 ~ 22권 4호 |
|
23권 4호 ~ 23권 4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