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enomenological Study of School Counseling Teachers’ Work Experience at Wee Centers
I. 서 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I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본 연구는 J도 교육지원청 Wee센터에서 근무하는 전문상담교사들이 Wee센터 전문상담교사로서 자신의 역할과 직무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이를 수행해나가는 경험과 그 의미를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3년 이상 Wee센터 근무 경험이 있는 전문상담교사들 9명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Van Kaam(1969)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3개의 범주, 11개의 주제, 43개의 부주제를 추출하였다. 이들은 자신의 기대와 Wee센터 전문상담교사로서 요구되는 역할 간에 괴리를 느꼈다. 이들은 상담 외의 업무에 대한 과도한 요구로 전문상담교사로서 정체성에 혼란을 느끼기도 하고, 명확하지 않은 업무 경계와 충분하지 않은 보상, 순회상담의 어려움으로 인해 Wee센터 근무에 불만족을 느끼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도전과 어려움을 헤쳐 나가며 자신의 직무에 적응해나가면서 Wee센터 전문인력과 행정직원들과의 협업을 통해 상담역량이 증대되었고, 지역사회 학교상담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며 상담 저변을 확장하였고, 다양한 상담경험을 쌓음으로써 전문상담교사로서 전문성을 신장할 수 있었다고 느꼈다. 또한, 자신들의 경험을 통해 Wee센터 근무 어려움을 개선하기 위한 문제의식이 생겨났다고 보고하였다. 이들은 Wee센터 배치되는 전문상담교사의 경력이 고려되고, 다양한 업무 수행을 위한 충분한 직무연수 기회가 제공되며, Wee센터 근무 특수성에 대한 추가적인 보상이 주어지며, 전문상담교사로서 성장과 소진 예방을 위한 기회가 확대되기를 제안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의의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school counseling teachers’ work experience at Wee centers and its meaning in the Offices of Education in J province. Nine school counseling teachers who had worked at Wee centers for at least 3 years were individually interview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Van Kaam's (1969)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As a result, 3 categories, 11 themes, and 43 sub-themes were extracted from the raw data. First, school counseling teachers at the Wee centers reported that they faced internal and external challenges while performing their roles, and became confused about their identity as a school counseling teacher because of heavy administrative workloads and highly demanded other tasks than counseling. Compared to school counseling teachers’ at the Wee class, they felt relatively deprived due to the differences in research opportunities, itinerant counseling, and working conditions. However, they felt that they have professionally developed because of cooperation with professional counseling staff, networking in communities, improved counseling competency, a lot of opportunities for counseling program planning, and consulting experiences with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They report that their work experience at Wee centers has raised their awareness to improve the working conditions at the Wee centers. They suggested that work experiences should be considered for placement to Wee center, it needs to be cautious to place a new school counseling teacher alone, job training opportunities should be provided, additional compensations for the Wee center work are needed, and the opportunities for prevention of burn-out should be expanded. The suggestions and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also discussed.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한국유아교육학회 소식 |
75권 0호 ~ 75권 0호 |
|
26권 6호 ~ 26권 6호 |
|
22권 4호 ~ 22권 4호 |
|
21권 4호 ~ 21권 4호 |
|
31권 4호 ~ 31권 4호 |
|
5권 2호 ~ 5권 2호 |
|
21권 6호 ~ 21권 6호 |
|
26권 2호 ~ 26권 2호 |
영유아교육.보육연구 |
13권 2호 ~ 13권 2호 |
|
70권 0호 ~ 70권 0호 |
|
36권 4호 ~ 36권 4호 |
D-수학교육연구 |
23권 4호 ~ 23권 4호 |
|
41권 2호 ~ 41권 2호 |
|
5권 2호 ~ 5권 2호 |
|
59권 4호 ~ 59권 4호 |
|
32권 3호 ~ 32권 3호 |
|
68권 4호 ~ 68권 4호 |
|
34권 4호 ~ 34권 4호 |
|
36권 4호 ~ 36권 4호 |
|
42권 4호 ~ 42권 4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