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derstanding Metaphor in the Predicates Associated with Ganhwaseon
목차 1. 들어가는 말 2. 깨침과 깨침에 대해 말하기 3. 화두 수행 용어에 내포된 은유 4. 맺음말
이 논문은 선불교의 간화선 수행법과 관련된 주요 술어(述語)가 함축하고 있는 ‘은유적 사고’(metaphoric thinking)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선(禪)에서는 깨침으로 지칭되는 모종의 경험을 상정하고 그것을 경험할 수 있는 방법으로 화두 수행을 강조한다. 그리고 이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독특한 수행 관련 술어가 동원된다. 이술어들에는 은유적 사고가 내포되어 있는데 그 맥락을 유추해 보면, 수행자에게 간화선 수행이 어떻게 받아들여지고 있는지 이해하는 데 많은 시사점을 던져 준다. 본 논문에서는 간화선의 화두 수행을 설명하는 용어 가운데 한국어 ‘얻다’, ‘들다’, ‘깨다’ 등의 술어를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화두를 ‘얻다’ 혹은 ‘받다’라는 표현에는 존재론적 은유가 내포되어 있으며, 이것은 화두를 존재론적으로 대상화하는 사고를 유발하거나 그러한 사고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또 화두를 ‘들다’라는 표현에는 지향적 은유가 내포되어 있으며, 이것은 화두와 관련하여 위계적이고 수직적인 사고를 유발하거나 그러한 사고의 결과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화두를 ‘깨다’ 혹은 ‘타파(打破)’라는 표현에서는 구조적 은유가 내포되어 있으며, 이것은 화두를 관문처럼 인식하는 사고를 유발하거나 그러한 의식이 반영된 것임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considers the metaphors deployed in the main predicates related to Ganhwaseon (看話禪) practice. In Seon (禪) practice, we assume some kind of experience referred to as enlightenment, and emphasize Hwadu (話頭) practice as the means which allows us to experience this enlightenment. Several unique predicates are used in the process of explaining Seon practice, and these predicate terms are therefore important in helping students to develop a clear understanding of Seon practice. The Korean predicates eod-da (얻다), deul-da (들다), and kkae-da (깨다) are examined in detail. The Korean expressions Hwadu-reul (화두를) eod-da and Hwadu-reul bat-da (받다) imply an ontological metaphor, which causes, or results from, the ontological objectification of Hwadu. Also, the Korean term Hwadu-reul deul-da is an orientational metaphor, which can be seen as the cause or result of hierarchical and vertical thought in relation to Hwadu. Finally, it can be seen that the term Hwadu-reul kkae-da is a structural metaphor that causes or reflects the thought of recognizing Hwadu as a gate.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경상논집 |
40권 1호 ~ 40권 1호 |
|
23권 4호 ~ 23권 4호 |
|
24권 4호 ~ 24권 4호 |
|
2권 1호 ~ 3권 2호 |
|
26권 0호 ~ 26권 0호 |
한국예다학 |
9권 0호 ~ 9권 0호 |
|
1권 1호 ~ 4권 2호 |
|
3권 3호 ~ 3권 3호 |
|
38권 4호 ~ 38권 4호 |
|
11권 6호 ~ 11권 6호 |
|
28권 4호 ~ 28권 5호 |
환경포럼 |
248권 0호 ~ 249권 0호 |
|
17권 4호 ~ 17권 4호 |
|
27권 4호 ~ 27권 4호 |
환경포럼 |
247권 0호 ~ 247권 0호 |
수시연구보고서 |
2019권 1호 ~ 2020권 2호 |
PKO저널 |
21권 0호 ~ 21권 0호 |
|
57권 0호 ~ 57권 0호 |
환경포럼 |
244권 0호 ~ 246권 0호 |
|
3권 2호 ~ 3권 2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