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Introduction and Application on the Intensive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15-25 Years’ Experienced-Teachers : An Analysis of Teachers’ Perceptions
10.29318/KER.25.4.3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본 연구는 중견교사 심화연수 도입 및 활용 방안에 대한 현직 교원들의 인식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교직 생애 및 발달 단계에서 중견교사는 학교조직 발전과 학생지도에 가장 열정적이고 헌신적인 단계로 볼 수 있다. 하지만, 현재 중견교사에 대한 수업 및 생활지도 분야의 연수 지원 체제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교원 자격연수, 직무연수, 직무역량, 생애발달 등과 관련된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중견교사 심화연수 목적과 내용, 운영 방법 등을 우선 탐색하였다. 2단계에서는 설문 조사 문항 도구를 개발한 뒤 교육행정학 전공 교수 3명, 초중등학교 현직 교원 6명 등 총 9명과의 협의를 거쳐 최종 설문조사 도구를 완성하고,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전국 17개 시·도의 초·중등학교 교원 4,348명이 응답한 주요 설문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① 중견교사 심화연수 유형으로는 자율연수 형태, 목적으로는 반성적 성찰과 재충전 기회 응답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② 중견교사 심화연수 결과는 교원별 개인 맞춤형 연수 자료 활용이 타당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③ 중견교사 심화연수 중점 역량군 및 세부역량으로는 자기계발 및 관리 역량과 교수학습 역량이 가장 높은 응답 비율을 보여주었고, ④ 교수 방법으로는 토의토론, 운영시 고려사항으로는 연수 내용의 현장 연계성에서 높은 응답 비율이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 결과에 터하여 본 연구는 중견교사 심화연수 도입·운영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으로 반성적 성찰과 재충전 기회 부여 목적의 심화연수 제도화, 1급 정교사 자격연수와의 차별화 및 선순환적 교사 자격연수 체제 설계, 중견교사 교직 생애 및 직무역량 중심의 맞춤형 심화연수 교육과정 개발·편성, 개인 맞춤형 중견교사 심화연수 운영 필요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urrent teachers' perceptions on the introduction and application of the intensive teacher training program (ITTP) for 15-25 years’ experienced-teachers. In the teaching life, the experienced-teachers can be seen as the most passionate and devoted stages in both the development of school organization and student guidance. However, there is a lack of training support system for teaching and life guidance for the experienced-teachers. Therefore, this study devised a survey tool based on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eacher qualification training, job training, job competency, and life development. The final survey tool was completed through consultation with three experts and six in-service teachers, a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main surve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ype of the ITTP for the experienced-teachers was high in the form of autonomous training, and the rate of reflection and recharge opportunity response was high for the purpose; Second, it was recognized that the results of the ITTP for the experienced-teachers are appropriate to be used as personalized training data for each teacher; Third, self-development and management competency and teaching-learning competency showed the highest response rate among the core competencies and detailed competencies; Finally, higher response rate was shown in the discussion method as the teaching method and in the field connection of the training contents as the operational considerations. Based on the abov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policy implications for the ITTP, such as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ITTP for the purpose of giving recharge opportunity, designing a virtuous circle for teachers’ training system, and development of customized curriculum.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
34권 1호 ~ 34권 1호 |
한국수학교육학회 뉴스레터 |
37권 1호 ~ 37권 1호 |
한국유아교육학회 정기학술발표논문집 |
2019권 2호 ~ 2020권 1호 |
교양교육과 시민 |
3권 0호 ~ 3권 0호 |
휴먼웨어 연구 |
3권 2호 ~ 3권 2호 |
|
24권 1호 ~ 24권 1호 |
|
71권 0호 ~ 71권 0호 |
|
41권 1호 ~ 41권 1호 |
|
31권 5호 ~ 31권 5호 |
|
36권 0호 ~ 36권 0호 |
|
59권 0호 ~ 59권 0호 |
Asia Pacific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
4권 1호 ~ 4권 1호 |
|
13권 4호 ~ 13권 4호 |
|
77권 0호 ~ 77권 0호 |
현대교육연구(구 중등교육연구) |
32권 2호 ~ 32권 2호 |
교육연구 |
5권 2호 ~ 5권 2호 |
|
64권 1호 ~ 64권 1호 |
|
14권 3호 ~ 14권 3호 |
한국유아교육학회 소식 |
75권 0호 ~ 75권 0호 |
|
26권 6호 ~ 26권 6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