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Types of Conjugation Stem Morpheme in Chosan Dialect
1. 서론 2. 단일형태소 3. 복합형태소 4. 결론 참고 문헌
이 글의 목적은 <초산>지역어의 활용어간에 대한 형태소 유형을 밝히는 것이다. 활용어간에 대한 형태론의 결과가 타당함을 밝히려면 설정된 기본형태소로부터 모든 이형태들을 합당하게 밝힐 수 있어야 한다. 본고에서는 최명옥(2005, 2008)에서 제시한 형태소 설정기준에 따라 단일형태소와 복합형태소로 구분하여 논의하였다. 우선 이 지역어의 단일형태소에는 단일 자음 /X{ㅂ, ㅍ, ㅁ, ㄷ, ㅌ, ㅅ, ㄴ, ㄹ, ㅈ, ㅊ, ㄱ, ㄲ, ㅎ, ㆆ}-/으로 끝나는 14가지, 자음군 /X{ㅄ, ㄵ, ㄾ, ㄼ, ㄻ, ㄺ, ㄶ, ㅀ, ㅭ}-/으로 끝나는 9가지, 모음 /X{이, 에, 애, 으, 어, 우, 오, 아}-/ 으로 끝나는 8가지 유형이 있음을 밝혔다. 다음 복합 형태소에는 /X{ㅂ-ㅜ}-, X{ㄷ-ㅭ}-, 같{ø-ㅐ}-, X{ø-ㄹ}르-, Xㅎ{ㅏ-ㅐ}-, X{ㅍ,ㅃ}{ㅜ-ㅡ}-, Xㄹ{ㅜ-르}-/등 7 가지가 있음을 밝혔다. 이 글은 현재까지 밝혀지지 않았던 이 지역어의 활용어간에 대한 형태소의 유형을 밝혔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고 또한 이 연구를 바탕으로 공시적 음운과정을 체계적으로 논의할 수 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is paper is focused on the stem’s conjugation of Chosan dialect from the perspective of synchronic morphology. In order to be valid, one must be able to reasonably explain the derivation of all these forms of morphemes and established morphemes. The standards for setting up morphemes, which were proposed in Choi(2008), were used in this paper. The monomorphisms of this dialect include 14 morpheme types ending with a single consonant /X{ㅂ, ㅍ, ㅁ, ㄷ, ㅌ, ㅅ, ㄴ, ㄹ, ㅈ, ㅊ, ㄱ, ㄲ, ㅎ, ㆆ}-/ and nine morphological types ending in the consonant group /X{ㅄ, ㄵ, ㄾ, ㄼ, ㄻ, ㄺ, ㄶ, ㅀ, ㅭ}-/. And eight morphological types ending in vowel /X{이, 에, 애, 으, 어, 우, 오, 아}-/ together with seven complex morphological types /X{ㅂ-ㅜ}-, X{ㄷ-ㅭ}-, 같{ø-ㅐ}-, X{ø-ㄹ} 르-, Xㅎ{ㅏ-ㅐ}-, X{ㅍ,ㅃ}{ㅜ-ㅡ}-, Xㄹ{ㅜ-르}-/.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s types of the stem’s conjugation of Chosan dialect which has not been revealed so far, and it is possible to systematically discuss the synchronic phonological process based on the phoneme list.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한글한자문화 |
258권 0호 ~ 258권 0호 |
|
69권 0호 ~ 69권 0호 |
|
79권 0호 ~ 79권 0호 |
|
58권 0호 ~ 58권 0호 |
한글한자문화 |
255권 0호 ~ 257권 0호 |
|
90권 0호 ~ 90권 0호 |
|
64권 0호 ~ 64권 0호 |
|
47권 0호 ~ 47권 0호 |
|
40권 0호 ~ 40권 0호 |
|
125권 0호 ~ 125권 0호 |
|
67권 0호 ~ 67권 0호 |
|
32권 0호 ~ 32권 0호 |
|
46권 0호 ~ 46권 0호 |
|
96권 0호 ~ 96권 0호 |
한국문법교육학회 학술발표논문집 |
2020권 2호 ~ 2020권 2호 |
|
78권 0호 ~ 78권 0호 |
|
171권 0호 ~ 171권 0호 |
|
59권 0호 ~ 59권 0호 |
|
51권 0호 ~ 51권 0호 |
|
31권 4호 ~ 31권 4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