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e North Korean Residents ‘Our Co-nationals’? : Korean Nationalism and the Boundary of Koreans in the 1980s and 1990s
I. 서론 Ⅱ. 북한 주민의 법적 지위 Ⅲ. 전두환 정부 시기 북한 주민에 대한 인식 Ⅳ. 노태우 정부 시기 북한 주민에 대한 인식 V. 김영삼 정부 시기 북한 주민에 대한 인식 Ⅵ. 결론 참고문헌
본 논문은 전두환·노태우·김영삼 대통령 재임 시기에 초점을 맞춰 『경향신문』, 『동아일보』, 『한겨레』 사설을 통해 북한 주민이 한국 사회에 어떠한 이미지로 표상되어 왔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우리 정부는 1948년 분단이후 현재까지 “대한민국의 영토는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로 한다”라는 헌법의 영토조항을 근거로 북한 주민을 대한민국 국민으로 간주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정부의 공식 입장과 별개로 분단이 고착화되면서 일상생활에서 북한 주민을 ‘우리 대한국민’의 일원으로 간주하는 경향은 점차 옅어지고 있다. 본 논문은 1980년대와 1990년대 『경향신문』, 『동아일보』, 『한겨레』 사설을 통해 북한 주민이 ‘우리 겨레’이긴 하지만 ‘우리 국민’은 아닌 ‘제3의 존재’로 표상되며 ‘우리 대한국민’의 범주에서 배제되는 모습을 살펴보고자 한다. 더 나아가 본 논문은 신문 사설에 표상된 북한 주민의 이미지가 1980년대와 1990년대를 거치며 ‘우리에게 위협이 되는 경계해야 할 대상’에서 ‘우리가 협력해야 할 민족공동체의 동반자’로, 그리고 1990년대 중반 이후 북한 식량난이 불거지면서 ‘우리가 구호해야 할 대상’으로 변화함을 보여주고자 한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단일민족 민족주의’를 특징으로 하는 한국 민족주의가 분단이 고착화되면서 다양한 형태로 분화하는 모습을 살펴보고자 한다.
Analyzing editorials of three Korean newspapers, Kyonghyangsinmun, Tongailbo and Hankyore, this study traces the changes of North Korean residents’ images represented in South Korean society during the Chun Doo Hwan, Roh Tae-Woo, and Kim Young-Sam presidencies. As well known, on the basis of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ROK) which stipulates that “the territory of the ROK shall consist of the Korean peninisular and its adjacent islands,” the ROK governemnt has treated all North Korean residents legally as ROK nationals. Contrary to the ROK government’s position as such, however, the trend to regard North Korean residents as ROK nationals seems to diminish in everyday life in recent years. By analyzing editorials of Kyonghyangsinmun, Tongailbo and Hankyore from September 1, 1980 to February 24, 1998, this study reveals that, though being included in ethnic Korean nation, North Korean residents have been excluded from the boundary of ‘our ROK nationals’ and represented as a ‘third person.’ Futhremore, this study reveals that the image of North Korean residents represented in the newspaper editorials has changed from one of ‘those we should raise our guard against’ to one of ‘those we should cooperate with,’ and to one of ‘those we should provide with relief.’ In doing so,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with the consolidation of the division of Korea, Korea’s ethnic nationalism has been diversified into various versions.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연구소 연구보고서 |
2019권 0호 ~ 2019권 0호 |
Jpi 정책포럼 |
230권 0호 ~ 238권 0호 |
|
27권 1호 ~ 27권 1호 |
|
13권 2호 ~ 13권 2호 |
|
16권 2호 ~ 16권 2호 |
|
39권 0호 ~ 39권 0호 |
|
36권 4호 ~ 36권 4호 |
|
4권 6호 ~ 4권 6호 |
군사논단 |
104권 0호 ~ 104권 0호 |
|
19권 0호 ~ 19권 0호 |
|
10권 2호 ~ 10권 2호 |
|
10권 3호 ~ 10권 3호 |
|
32권 2호 ~ 32권 2호 |
|
8권 2호 ~ 8권 2호 |
|
43권 0호 ~ 43권 0호 |
|
44권 3호 ~ 44권 3호 |
|
28권 4호 ~ 28권 4호 |
|
5권 3호 ~ 5권 3호 |
|
24권 2호 ~ 24권 2호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연구소 정책리포트 |
55권 0호 ~ 55권 0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