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시작하는 말
Ⅱ. 윤리적 문제로서의 미세먼지와 대기오염 문제
Ⅲ. 장기적인 집합적 행위의 환경문제들로서의 미세먼지와 대기오염문제
Ⅳ. 미세먼지를 포함한 환경문제의 사소함 문제
Ⅴ. 미세먼지나 기후변화로 대표되는 집합적 행위의 환경문제에 대한 책임문제
Ⅵ. 맺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이 논문은 미세먼지라는 대기오염 문제에 대한 책임의 문제를 다룬다. 그러기 위해서 나는 먼저 ‘죽음의 먼지’나 ‘침묵의 살인자’라는 오명이 씌워진 미세먼지라는 것이 무엇이고 그 심각성이 어떤지에 대해 검토한다. 그러고 나서 이런 대기오염의 문제가 정치, 경제적이고 과학기술적인 문제이기도 하겠지만, 근본적으로 윤리적이고 철학적인 문제라는 것을 드러낸다. 그러면서 그 문제의 근본적인 특성이 다른 여타의 환경문제들처럼 ‘장기적인 집합적 행위의 문제’라는 점을 밝힌다. 그런데 바로 환경문제의 이런 특성은 사람들로 하여금 미세먼지 등과 같은 환경문제를 무시하거나 등한시하도록 만든다. 이것이 이른바 사소함의 문제다. 사소함의 문제라는 것은 미세먼지 문제나 지구적 기후변화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내가 기여하는 것이 사소한 것이고, 그것이 나에게 약간의 비용을 요구하거나 손실을 가져오게 된다면, 사람들은 그런 일을 하지 않으려 든다는 것을 말한다. 더군다나 다른 사람들이 그런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을 할 것인지가 확실치 않은 경우라면 더욱 더 그런 일들을 하지 않으리라는 것이다. 여기에서 나는 이러한 사소함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몇몇 대안을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끝으로 장기적인 집합적 행위의 문제로서의 환경문제들이 지니는 이런 사소함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 방안으로 책임윤리의 문제를 몇몇 선행 논의들을 통해 검토해 본다. 그리고 우리 현실에서 그것의 실현 가능성을 탐색해 본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problems of responsibility for air pollution problems called fine dust. To do this, I first examine what is fine dust stigmatized as ‘Death Dust’ or ‘Silent Killer’ and what is the seriousness of it. Then, I reveal that the problems of air pollution is a political, economic, scientific and philosophical. In doing so, I examine that the funda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problem are ‘longitudinal collective action problems’ like other environmental problems, But these characteristics make people neglect and disregard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fine dust. this is what is called the problem of inconsequentialism. This arises when a person’s contribution is nearly inconsequential to addressing fine dust problems or global climate change problesm and may require some cost from the standpoint of the person’s own life. In this case, people will not do that. And when it is uncertain whether others will make the effort to solve that problem, they won’t do it. Here I will examine some alternatives to solve these problem. Finally, as a way to solve the problem of inconsequentailsim that such environmental problems as the ‘longitudinal collective action problems’ have, I review the problem of responsibility ethics through some preceding discussions. And I explore the possibility of realization of it in our real world.
UCI(KEPA)
간행물정보
: 인문과학분야 > 기타(인문과학)
: KCI등재
:
: 반년간
: 1738-8988
:
: 학술지
: 연속간행물
: 2002-2020
: 204
저작권 안내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