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etrich Bonhoeffer’s Ecclesiology and the Conversation of the Fourfold Gospel ―With a focus on regeneration and sanctification
I. 들어가는 말: 확장된 성결론의 제안 II. 중생, 성결, 값비싼 성결 III. 교회론적 성결론: 값비싼 성결론 IV. 나가는 말 참고문헌
본 논문은 디트리히 본회퍼(Dietrich Bonhoeffer, 1906-1945)의 교회 이해와 ‘중생’과 ‘성결’에 관한 담론과의 대화이다. 이를 위해 웨슬리안 사중복음 교의학의 이해에 따른 중생과 성결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를 정리하고, 본회퍼의 『성도에 교제』의 내용을 중심으로 중생을 이해하는 교회론적 시각을 제시한 후, 『나를 따르라』의 내용을 중심으로 확장된 성결 이해를 위한 근거 마련을 통한 새로운 성결론을 전개하고, 이를 하나의 시의적절한 성결론으로 제안했다. 21세기 현 시점에서 기독교대한성결교회의 성결담론은, 교회론적 성결론으로 발전되어야 한다. 성령세례(행 2:1-4)만 지나치게 강조하는 성결론은 성령세례의 유무로 성결담론을 특징지어버려 더 이상의 사도행전(행 2:43-47) 교회가 보여주었던 형태의 성결담론을 제한시켜 왔다고 여겨진다. 교회와 한국교회는 중생된 제자들, 즉 본회퍼의 교회이해를 통해 재정립된 ‘공동체로 탈존하는 그리스도’(Christ existing as Church-community)와 함께 살아가는 교회된 제자들에게 부여되는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발생하는 삶의 응답으로서의 책임, 그리고 비범성, 은밀성, 단순함의 성결을 논의하고, ‘가난’과 ‘포기’의 관점에서 논의되는 ‘교회론적 성결론’을 배경으로 하는 ‘값비싼 성결’의 실천적 담론들을 마련해 나가야 할 것이다.
This paper presents the understanding of the church by Dietrich Bonhoeffer(1906-1945) and his conversation with the discourse of “regeneration” and “sanctification.” For this, the study sorted out the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regeneration and sanctification according to the understanding of dogmatics in the Wesleyan Fourfold Gospel, proposed an ecclesiological viewpoint to understand regeneration around Bonhoeffer's Sanctorum Communio, developed a new doctrine of sanctification by building some grounds to understand sanctification spread around The Cost of Discipleship, and presented it as a timely doctrine of sanctification. At the current point of the 21st century, the Korea Evangelical Holiness Church should develop its discourse of sanctification into an ecclesiological doctrine of sanctification. The doctrine of sanctification with too much emphasis only on the Baptism of the Spirit(2:1-4) tends to characterize a sanctification discourse only based on whether there is a baptism of the spirit or not. It has thus restricted the doctrine of sanctification in the form displayed by the church in the Acts of Apostles(2:43-47). The Church and the Korean Church should discuss the responsibility as an answer to life in relations with others granted to the disciples living with “Christ existing as Churchcommunity” re-established through the regenerated disciples or Bonhoeffer’s understanding of church, as well as the sanctification of extraordinariness, hidden character, and simplicity. They also need to build practical discourses of “costly Holiness” against the backdrop of “ecclesiological doctrine of sanctification” discussed in the viewpoint of “poverty” and “renunciation.”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
39권 0호 ~ 39권 0호 |
예루살렘통신 |
119권 0호 ~ 119권 0호 |
|
37권 0호 ~ 37권 0호 |
|
44권 0호 ~ 44권 0호 |
한국불교학회 워크숍자료집 |
2020권 0호 ~ 2020권 1호 |
한국불교학회 학술발표논문집 |
2020권 2호 ~ 2020권 3호 |
|
46권 0호 ~ 46권 0호 |
|
64권 0호 ~ 64권 0호 |
|
37권 0호 ~ 37권 0호 |
신학과 선교 |
59권 0호 ~ 59권 0호 |
|
26권 3호 ~ 26권 3호 |
|
48권 0호 ~ 48권 0호 |
|
28권 3호 ~ 28권 3호 |
|
25권 4호 ~ 25권 4호 |
|
46권 0호 ~ 46권 0호 |
|
61권 0호 ~ 61권 0호 |
기독교철학 |
30권 0호 ~ 30권 0호 |
|
52권 0호 ~ 52권 0호 |
|
11권 2호 ~ 11권 2호 |
전도와 신학 |
35권 0호 ~ 35권 0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