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Two Fronts of the Candlelight Vigils in 2016-2017
10.31008/MV.41.1
1. 서론 2. 대중시위의 두 가지 전선과 두 가지 폭력 3. 촛불집회의 비폭력 배경 4. 비폭력-준법의 영향: 또 다른 균열·배제와 새로운 가능성 5. 결 론 참고문헌 미디어자료
이 연구는 2016~2017년 촛불집회의 특징이 비폭력뿐 아니라 준법 시위에 있다는 점에 주안을 두고, 집회 공간을 물리적 전선과 추상적 전선으로 구분해 각각의 비폭력 배경과 그 영향을 살펴보았다. 지난 촛불집회에서 비폭력-준법 시위가 가능했던 것은 저항의 제도화와 지배세력의 균열로 인한 전선의 변화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물리적 전선에서는 지배세력의 균열로 공권력이 자제·후퇴했고, 추상적 전선에서는 군중의 폭력적 열기가 소멸하는 한편 전선의 변화로 박근혜 1인을 제외한 적이 비가시화됐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같은 비폭력과 준법은 물리적 전선과 추상적 전선의 구분을 없애면서 광장을 축제의 장으로 만들기도 했다. 그러나 다른 한편에서는 생존을 건 투쟁의 목소리를 침묵시켰고 광장을 시민들만의 공간으로 만들면서 비시민들을 광장에서 배제해 버렸다. 하지만 새로운 가능성도 동시에 선사했다. 여혐 논란으로 가시화된 여성주의 전선은 단일한 대오에 균열을 초래했지만 서로 다른 전선의 접합 가능성도 보여줬다. 또 시민의 공간으로 변화한 광장은 기존의 파편화된 도시하층민을 배제하긴 했으나 다양한 전선이 공존할 수 있도록 하면서 이들의 깃발이 진입할 여지도 열어놓았다.
Considering that candlelight vigils are not only nonviolent but also law-abiding, this study seeks to understand the background and influence of this nature of the candlelight vigils held from 2016 to 2017 in terms of their physical and abstract fronts. Nonviolent and law-abiding candlelight vigils were possible due to the institutionalization of resistance movements and the changes in the fronts caused by the fissures in the ruling party. Specifically, on the physical front, public authorities restrained or retracted themselves under the divided ruling party, while the violent heat of the crowd dissipated on the abstract front as the enemy dissipated from visibility, leaving only Park Geun-hye in sight. The nonviolence and law-abidance of the candlelight vigils eliminated the distinction between the physical and abstract fronts, transforming the protests into a festival. But, at the same time, this transformation silenced the voices of the protestors who had come to fight with their lives and ostracized the non-citizens from the grounds, reserving the space only for the citizens. However, the 2016-2017 candlelight vigils also presented new possibilities. The feminist front, which had gained increased visibility due to the controversy over misogyny, had caused a crack in unified order but also proved that groups with different agendas could join forces together. Moreover, although the space occupied and reserved for the citizens participating in the candlelight vigils excluded the fragmented urban lower class, the vigils also opened a window for them to join the forces by demonstrating the coexistence of various fronts.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공익과 인권 |
20권 0호 ~ 20권 0호 |
접경지역통일연구 |
4권 2호 ~ 4권 2호 |
|
16권 2호 ~ 16권 2호 |
|
12권 2호 ~ 12권 2호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연구소 연구보고서 |
2019권 0호 ~ 2019권 0호 |
Jpi 정책포럼 |
230권 0호 ~ 238권 0호 |
|
27권 1호 ~ 27권 1호 |
|
13권 2호 ~ 13권 2호 |
|
16권 2호 ~ 16권 2호 |
|
39권 0호 ~ 39권 0호 |
|
36권 4호 ~ 36권 4호 |
|
4권 6호 ~ 4권 6호 |
군사논단 |
104권 0호 ~ 104권 0호 |
|
19권 0호 ~ 19권 0호 |
|
10권 2호 ~ 10권 2호 |
|
10권 3호 ~ 10권 3호 |
|
32권 2호 ~ 32권 2호 |
|
8권 2호 ~ 8권 2호 |
|
43권 0호 ~ 43권 0호 |
|
44권 3호 ~ 44권 3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