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hitan Policy Toward Chinese States in the 10th and 11th Century
1. 9세기 거란제국의 발흥 2. 오대(907~60)시기 거란의 중원 전략 3. 거란과 송의 충돌과 타협: 전연의 맹약 4. 송과 대하의 충돌과 거란의 대응 5. 거란제국에 대한 편견을 넘어
9세기 말 당제국이 무너지면서 기마병의 강력한 군사력을 가진 거란은 제국을 세우면서 중원을 위협하는 존재로 부상하였고 이후 천여 년 간 금, 몽골, 만주제국으로 이어지는 북방민족의 중원 정복과 통치의 서막을 열었다. 호전적 유목민족이 세운 정복왕조라는 선입관과 달리 거란의 대외 정책은 기타 동아시아 여러 역대 왕조와 비교하여 크게 침략적이지 않았다. 947년 후주를 멸망시키고 정복한 중원 지역에 대한 통치가 3개월 만에 실패로 끝나자 거란은 이후 연운16주 남쪽을 정복하고자 시도하지 않았다. 전연의 맹약으로 귀결된 송과의 치열한 전쟁은 영토에 대한 야욕보다는 송의 공격에 취약하였던 연운16주의 안정과 나아가 후주에 빼앗긴 관남지역의 수복을 목표로 한 것이다. 거란은 중원 한족왕조를 위협하여 물자를 획득하지만 상대방의 정통성과 영토를 보장하는 맹약체제가 성립된 이후에는 평화로운 국제관계를 유지하고자 노력한다. 거란은 한족중심적 조공체제와 천하관에 얽매이지 않고 송, 대하, 고려 등 이웃 국가들과 공존을 추구한다. 이는 중원의 중심에서 “황제국”의 명분으로 거란과 대하에 선제공격을 감행하고 맹약 이후에도 여진을 끌어들이면서 거란을 협공한 소위 ‘문치주의’ 송나라의 정책과 크게 대조되는 것이다. 11세기 세폐와 세사의 형식으로 송의 물자를 제공받은 거란과 대하의 충돌과 타협은 조공체제의 문화론적 해석으로는 이해가 어렵지만 국제질서의 세력균형과 실리주의의 시각에서 볼 때 당연한 결과였다. 유동적이고 복잡한 동아시아 다원적 국제질서의 현실에서 거란이 추구한 대외정책에 대한 포괄적 이해는 거란중심적 시각의 접근을 요구한다.
As Tang China slowly disintegrated in the late 9th century, Khitan tribes with powerful cavalry built a great empire that threatened Han Chinese dynasties and other neighboring states in Northeast Asia. The Khitan empire began the millenium of nomadic conquest and dominance in north China. Despite the prejudice against the “Conquest dynasties” founded by “bellicose” nomadic tribes, foreign policies of the Khitan state toward China were not overly aggressive. In 947, Khitans destroyed the Later Jin of the Five Dynasties, but their attempt to rule northern China directly ended in disaster. The Khitans would never again attempt to conquer Chinese territories south of the Sixteen Prefectures of Yan and Yun. With the Covenant of Shanyuan, Khitans gained peaceful border and yearly payments. Thereafter, the Khitan empire recognized territorial integrity of its neighboring states and sought to maintain the status quo. The conflicts between the Khitan and Tangut Xia in the 11th century cannot be adequately understood within the culturalistic framework of the tribute system. They show pragmatic policies pursued by all the players in the multi-state system. The study of the fluid and complex pre-modern East Asian international order must be approached from Khitan-centered perspectives.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사학지 |
60권 0호 ~ 60권 0호 |
|
64권 0호 ~ 64권 0호 |
|
129권 0호 ~ 129권 0호 |
|
52권 0호 ~ 52권 0호 |
|
70권 0호 ~ 70권 0호 |
|
61권 0호 ~ 61권 0호 |
|
68권 0호 ~ 68권 0호 |
|
49권 0호 ~ 49권 0호 |
|
141권 0호 ~ 141권 0호 |
|
54권 0호 ~ 54권 0호 |
문물연구 |
38권 0호 ~ 38권 0호 |
|
7권 4호 ~ 7권 4호 |
|
35권 0호 ~ 35권 0호 |
|
16권 16호 ~ 16권 16호 |
|
78권 0호 ~ 78권 0호 |
|
63권 0호 ~ 63권 0호 |
|
83권 0호 ~ 83권 0호 |
|
128권 0호 ~ 128권 0호 |
|
74권 0호 ~ 74권 0호 |
|
81권 0호 ~ 81권 0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