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litative Inquiry of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of High School Prerequisite Physics Courses Required for Science and Engineering Majors
서론 연구 방법 결과 및 논의 결론 및 제언 사사 참고문헌
본 연구의 목적은 고교-대학 연계성 제고를 위해 고등학교 학생들의 교과목 선택권을 실질적으로 보장하는 방안을 탐구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총10명의 이공계열 학부 3, 4학년 및 대학원 재학생을 추천받아 초점집단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대학전공 공부를 위한 고교 물리 선수과목 이수의 필요성, 대학 전공공부에 필요한 물리 선수과목을 고등학교에서 이수하지 않은 이유, 물리 선수과목 이수를 고등학교 후배들에게 권장할 의사, 대학전공 공부에 필요한 고교 물리 선수과목 이수를 보장하는 방안 등을 탐구하였다. 연구결과 물리 과목의 필요성은 인지하고 있으나, 현실적 이유로 인해 물리과목을 기피하고 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 · 운영 정상화 방안을 소수 선택과목 개설 보장, 과학Ⅱ 과목 내신 및 수능 성적 산출 방식 개선, 고교 필수선수과목에 대한 이공계열별 진로 안내, 과학교사의 수업전문성 및 진로지도 전문성 제고, 이공계열 전공공부에 필요한 필수선수과목 이수를 보장하기 위한 대입전형 시스템을 마련의 필요성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ays to secure highschool students’ choice of courses in order to improve highschool - university linkage.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in-depth focus group interviews with a total of 10 students in the second or the third year or graduate student at the science and engineering college, and these interviewees were recommended by their professors. Through interviews, we explored the necessity to complete highschool Physics prerequisite courses, reason for not completing highschool Physics prerequisite courses necessary for college major, their intention to recommend highschool juniors to complete Physics prerequisite courses, and ways to guarantee prerequisite course completion for college major studies.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ed ways to link highschool - university curriculum for science & engineering majors. Discussed in the conclusion are ways to stabilize highschool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such as opening elective courses with a few students without disadvantage in the school record, improving the grading system for Science Ⅱ courses in the school record as well as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providing career guidance about prerequisite courses by science & engineering majors, improving the science teacher’s professionalism on teaching and career guidance, and developing college entrance systems to guarantee the completion of prerequisite courses for science & engineering college studies.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
77권 0호 ~ 78권 0호 |
|
14권 4호 ~ 14권 4호 |
|
39권 4호 ~ 39권 4호 |
|
40권 5호 ~ 40권 5호 |
|
14권 3호 ~ 14권 3호 |
|
59권 3호 ~ 59권 3호 |
|
48권 3호 ~ 48권 3호 |
|
44권 2호 ~ 44권 2호 |
|
14권 3호 ~ 14권 3호 |
|
40권 4호 ~ 40권 4호 |
|
39권 3호 ~ 39권 3호 |
|
59권 2호 ~ 59권 2호 |
|
48권 2호 ~ 48권 2호 |
|
40권 3호 ~ 40권 3호 |
|
14권 2호 ~ 14권 2호 |
|
39권 2호 ~ 39권 2호 |
|
44권 1호 ~ 44권 1호 |
|
40권 2호 ~ 40권 2호 |
|
48권 1호 ~ 48권 1호 |
|
59권 1호 ~ 59권 1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