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China's Abolition of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System on Modern Education
Ⅰ. 들어가는 말 Ⅱ. 과거제도 폐지와 근대 교육의 변화 Ⅲ. 과거제도 폐지와 근대 교육의 과제 Ⅳ. 나오는 말
본 연구는 중국의 과거제도 폐지가 근대교육에 미친 영향과 근대교육에 남긴 과제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중국의 과거제도 폐지는 근대교육을 앞당기는 중요한 사건이다. 과거제도의 폐지로 인해 전통적인 교육체계가 바뀌고 학습내용과 방식이 바뀌었다. 기존의 유가경전 중심의 교육은 근대교육에서 완전히 폐지되지 않았지만 신학문으로 대체되었다. 또한 교육의 대상과 내용, 장소가 바뀌었다. 남성중심의 교육에서 남녀평등교육, 경전중심의 교육에서 신학문중심 교육, 서원에서 학당으로의 전환 등이 일어났다. 신학문의 도입으로 외국으로의 유학도 활성화되었다. 그러나 과거제도 폐지 후에도 근대교육에 있어 선발 방식, 특권계층의 성립, 전통학문의 몰락과 서구학문과 서구적 교육방식의 문제, 전통과 근대성에 대해 재고해보아야 하는 문제가 여전히 남아 있다.
This paper looked at the impact of the abolition of China's civil service examination system on modern education and what studied it left on modern education. The abolition of China's civil service examination system is an important event to advance modern education. The abolition of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has changed the traditional education system and changed the contents and methods of learning. Existing traditional education has not been completely abolished from modern education, but has been replaced by new learning. Also, the subject, content, and location of education have changed. They include gender equality education in male-centered education, education centered on theology from scriptures-centered education, and a shift from shuyuan(書院) to xuetang(學堂). The introduction of the new learning has also boosted the study abroad. However, after the abolition of this civil service examination system, the problems of selection method, establishment of privileged class, fall of traditional studies, problems of Western learning and Western education, and the question of tradition and modernity still remain.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사학지 |
60권 0호 ~ 60권 0호 |
|
64권 0호 ~ 64권 0호 |
|
129권 0호 ~ 129권 0호 |
|
52권 0호 ~ 52권 0호 |
|
70권 0호 ~ 70권 0호 |
|
61권 0호 ~ 61권 0호 |
|
68권 0호 ~ 68권 0호 |
|
49권 0호 ~ 49권 0호 |
|
141권 0호 ~ 141권 0호 |
|
54권 0호 ~ 54권 0호 |
문물연구 |
38권 0호 ~ 38권 0호 |
|
7권 4호 ~ 7권 4호 |
|
35권 0호 ~ 35권 0호 |
|
16권 16호 ~ 16권 16호 |
|
78권 0호 ~ 78권 0호 |
|
63권 0호 ~ 63권 0호 |
|
83권 0호 ~ 83권 0호 |
|
128권 0호 ~ 128권 0호 |
|
74권 0호 ~ 74권 0호 |
|
81권 0호 ~ 81권 0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