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118.252.19
18.118.252.19
close menu
}
KCI 등재
스마트 미디어 시대와 독서교육
The Era of Smart Media and Reading Education
이삼형 ( Lee Sam-hyung )
독서연구 53권 9-32(24pages)
DOI 10.17095/JRR.2019.53.1
UCI I410-ECN-0102-2021-000-000697245

본 연구는 스마트 미디어 시대의 독서교육이 지향해야 할 바를 논의하였다. 먼저 스마트 미디어를 융합적이고, 유연하며, 지능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미디어라고 정의하였다. 스마트 미디어는 삶의 방식을 바꾸어 놓았다. 사람들은 교통, 업무, 은행 업무, 쇼핑, 여가 등 모든 분야에서 스마트 미디어를 활용하면서 살아간다. 스마트 미디어 시대의 소통은 일방향성이 아닌 양방향성이 특징이며 일반 사람들도 텍스트의 소비자에서 생산자로 바꾸어 놓았다. 스마트 미디어 시대의 텍스트의 특성은 복합 양식 텍스트, 하이퍼 링크가 실현된 하이퍼 텍스트, 독자들의 탐사적 구성적 기능이 가능한 텍스트로 규정된다. 스마트 미디어 시대의 독서 양식은 크게 텍스트를 넘나드는 다중 읽기 , 실시간으로 독자들과 의견과 느낌을 고유하는 소셜 읽기, 텍스트에 무엇인가를 덧붙이는 증강 읽기로 특징지어진다. 스마트 시대의 독서교육이 지향해야 할 바는 텍스트의 수용과 생산의 통합, 텍스트를 넘어 주제에 대한 종합적 읽기, 현실체험과 함께 하는 정서적 읽기이다.

This study discussed the aims of reading education in the era of smart media. First, we defined the era of smart media as the era of providing convergent, flexible, and intelligent services. Smart media has changed the way of life. People use smart media in everything from transportation, business, banking, shopping and leisure. Communication in the era of smart media is characterized by two-way, not one-way, and the general people have changed from consumers of text to producer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xt in the era of smart media are defined as complex modal text, hypertext with hyperlinks, and text that enables the reader's exploratory and constructive functions. Reading styles in the era of smart media are largely characterized by multiple reading across multiple texts, social reading to exchange opinions and emotions with others in real time, and augmented reading to read augmented text with additional information added to the text. Reading education in the smart era should aim at the integration of reading and writing, comprehensive reading for critical reading, and emotional reading with real-world experience.

1. 스마트 미디어란?
2. 스마트 미디어와 삶, 소통, 텍스트
3. 스마트 미디어와 독서
4. 스마트 미디어 시대의 독서교육
5. 마무리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