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testant Medical Missionary and Independence Movement in Gangwon Province : Focusing on the Methodist Church and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Medical Doctors
10.31097/KHR.2019.33.03
Ⅰ. 머리말 Ⅱ. 감리교회와 강원지역의 의료선교 Ⅲ. 강원지역의 의료선교와 독립운동 Ⅳ. 맺음말
이 글은 개신교 의료선교 특히 강원지역 감리교회가 지역사회에서 일반 민중을 상대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국내외 독립운동의 중요한 거점이 될 수 있었던 역사적 기원과 배경을 검토하였다. 개항 이후 강원지역 의료선교는 재정적 여건이나 제반 환경적 조건이 열악하였으며, 식민지시기 이후로는 식민당국이 설립한 관립병원 등의 확대로 여러 가지로 어려운 상황이었다. 의료선교사들은 교단의 관할구역 내에서 순환근무를 하였으며, 이 때문에 병원이 일시적 침체를 겪기도 했다. 반면 강원지역은 주로 활동했던 남감리회 소속 얼 앤더슨(Earl Willis Anderson: 1879-1960)을 중심으로 인적 네트워크가 형성되었고, 다양한 인물들이 의료선교사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선교병원을 의사 독립운동의 전초기지로 활용하기도 했다. 북감리회와 인연이 깊었던 세브란스의전 졸업생인 안사영(1917년졸)이 단독으로 원주 서미감병원과 만주 지린성 등지에서 활약했던 것과 대조적으로 남감리회 소속의 곽병규(1913년졸), 이원재(1914년졸), 이병천(1919년졸), 박정식(1919년졸), 송춘근(1923년졸) 등은 춘천, 강릉, 원산 등 서로 다른 지역적 배경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남감리회의 주요 거점인 원산 구세병원에서 합류하기도 했다. 원산 구세병원은 블라디보스토크 해성의원과 하얼빈의 고려의원 등과 같은 해외 독립운동 거점과 연결되는 중간 거점이었다. 이곳을 거쳐 이원재, 이병천, 박정식 등은 하얼빈 고려의원에서 활동했으며, 곽병규는 블라디보스토크 해성의원, 송춘근은 해남 고려의원 등지에서 활약했다. 요컨대 강원지역은 인적으로나 재정적으로 의료선교를 실행하기에 열악한 상황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남감리회라는 기독교적·교파적 배경, 세브란스의전이라는 학연, 인척관계 등을 배경으로 끈끈한 연결망을 형성하고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 독립운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d the historical origins and backgrounds of the Protestant Medical Missionary Church, especially the Methodist Church in Gangwon Province, not just providing medical services to the general public in the community, but also being an important base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at home and abroad. Since the opening of the port, medical missionary work in Gangwon Province has been in poor financial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it has been a difficult situation since the colonial period due to the expansion of public hospitals established by colonial authorities. Medical missionaries worked on a rotation in the church's precincts, which caused hospitals to experience temporary stagnation. On the other hand, human networks were formed around Earl Willis Anderson(1879-1960), who mainly worked in Gangwon Province, and various figures used the medical missionary network to use missionary hospitals as outposts for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medical doctors. Unlike Ahn Sa-young, a graduate of the Severance Union Medical College and a member of the North Methodist Episcopal Church, who worked alone in Swedish Methodist Hospital at Wonju, Kwak Byeong-gyu, Lee Won-jae, Lee Byung-cheon, and Song Chun-geun, who graduated from Severance Union Medical College are based in different regions such as Chuncheon, Gangneung and Wonsan. Wonsan Salvation Hospital was a midpoint connecting with overseas independence movement strongholds such as Haeseong Hospital in Vladivostok and Korea Hospital in Harbin. Through here, Lee Won-jae, Lee Byung-cheon and Park Jung-sik served at Korea Hospital in Harbin, while Kwak Byung-kyu and Song Chun-geun served at Haesung Hospital in Vladivostok and at Korea Hospital in Haenam district. In short, despite the dire situation of implementing medical missionary work both in person and financially, Gangwon Province has formed a strong network of connections against the backdrop of Christian and religious backgrounds of South Methodist Episcopal Church, school ties of Severance, and personal relationships, which led to active participation in independence movements not only in Korea but also abroad.
I410-ECN-0102-2021-900-000095057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
79권 0호 ~ 79권 0호 |
|
71권 0호 ~ 71권 0호 |
|
86권 0호 ~ 86권 0호 |
|
142권 0호 ~ 142권 0호 |
|
80권 0호 ~ 80권 0호 |
|
130권 0호 ~ 130권 0호 |
|
50권 0호 ~ 50권 0호 |
|
8권 1호 ~ 8권 1호 |
|
84권 0호 ~ 84권 0호 |
|
64권 0호 ~ 64권 0호 |
|
75권 0호 ~ 75권 0호 |
|
82권 0호 ~ 82권 0호 |
|
102권 0호 ~ 102권 0호 |
|
33권 0호 ~ 33권 0호 |
복현사림 |
38권 0호 ~ 38권 0호 |
|
85권 0호 ~ 85권 0호 |
|
69권 0호 ~ 69권 0호 |
사학지 |
60권 0호 ~ 60권 0호 |
|
64권 0호 ~ 64권 0호 |
|
129권 0호 ~ 129권 0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