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Sammyeong Kang Jun-heum's “Hangyeong-Jabyeong” -Focusing on poems depicting his own memories and change of social conditions-
1. 머리말 2. 「한경잡영」의 서지적 고찰과 내용 분석 3. 자신의 추억을 되새기다 4. 세태의 변화를 노래하다 5. 맺음말 참고문헌
「한경잡영」은 삼명 강준흠이 19세기 초 한양의 다양한 모습을 다양한 형식으로 표현한 연작시이다. 국초부터 창작된 팔경시(八景詩)나 십영(十詠)등의 영향을 받았고, 정조 때 창작된 「성시전도시(城市全圖詩)」를 참고했지만 형식이나 내용을 모방하지 않고 자신의 개성을 최대한 발휘한 작품이다. 「한경잡영」은 총 40수로 구성되어 있다. 한양의 진산인 삼각산을 비롯하여 도성을 둘러싼 산들과, 창덕궁을 비롯한 궁궐들, 누정(樓亭)과 다리, 한강변의 명소는 물론, 자신의 추억이 어린 장소, 세태의 변화를 절감할 수 있는 장소 등 다양한 장소를 작품의 대상으로 하였다. 「한경잡영」은 비슷한 성격을 가진 장소를 중심으로 묶은 것 같지만, 실제 내용은 장소보다는 주제별로 분석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필자는 다섯 가지 주제로 작품을 분류해 보았다. 첫째, 조선의 국도로서 한양을 노래한 작품, 둘째, 생활의 터전으로서 한양을 노래한 작품, 셋째, 의리의 공간으로서의 한양을 노래한 작품, 넷째, 자신의 추억의 공간을 노래한 작품, 다섯째, 세태의 변화를 노래한 작품이 그것이다. 「한경잡영」은 한양의 주요 장소 40곳을 두루 답사하며 지은 작품이지만 단순한 기행시가 아니라 일생의 대부분을 서울에서 관료로 살아온 한 사대부 문인의 삶의 경험과 고백이 담긴 작품이다. 이 논문은 이와 같은 특징에 초점을 맞추어 위에 제시한 다섯 가지 주제 가운데 추억의 공간을 노래한 작품과 세태의 변화를 노래한 작품을 중심으로 다루었다. 「한경잡영」에 있는 거의 모든 작품에서 어떤 식으로든 개인의 추억이나 감회를 표현하고 있음을 상기할 때, 추억과 세태 변화라는 두 가지 주제는 40수 전체를 관통하는 주제이기도 하다. 아직까지 삼명 강준흠의 시 작품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가 전무한 상황에서 「한경잡영」 40수만으로 그의 시세계를 논하기는 섣부른 일이다. 그러나 「한경잡영」이 시인의 노년기 작품으로 시인으로서는 완숙기에 이른 때의 저작임을 감안할 때, 「한경잡영」을 통해 삼명 강준흠의 시세계의 일단은 엿볼 수 있으리라 믿는다.
“Hangyeong-Jabyeong(漢京雜詠)” is a series of poems in which Sammyeong Kang Jun-heum expressed various aspects of Hanyang in the early 19th century. It was influenced by Palgyeong poems(八景詩) or TenYeong(十詠) created from the beginning of the country, and he referred to “Seongshijeondoshi”, which was created during King Jeongjo, but showed his personality to the fullest in his work without imitating form or content. “Hangyeong-Jabyeong” consists of a total of 40 poems. His works included various places such as Samgaksan as Hanyang's Jinsan, the mountains surrounding the city, Changdeok palace and other palaces, pavilions and bridges, attractions on Han River shore, places where his memories were haunted, and places where he could feel change of social conditions. “Hangyeong-Jabyeong” seems to be grouped around places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but it would be more effective to analyze actual contents by subjects rather than places. I categorized his works into five themes. They are first, works singing Hanyang as Joseon's capital city, second, works that sang Hanyang as a place of life, third, works that sang Hanyang as the space of loyalty, fourth, works singing the space of memories, and fifth, works that sang change of social conditions. “Hangyeong-Jabyeong” is a collection of works created by exploring 40 major places in Hanyang, but it is not a mere travel poem but a work that contains the experiences and confessions of a Sadaebu literati who has spent most of his life as a bureaucrat in Seoul. Focusing on these features, of the five themes, this study explored works of singing the space of memories and singing change of social conditions. Recalling that almost all of the works in “Hangyeong-Jabyeong” express personal memories or feelings in some way, the two themes, memories and change of social conditions, are also the themes that penetrate all 40 poems. There has yet to be full research on Sammyeong Kang Jun-heum's poems, it might be impetuous to discuss his poetic world with 40 poems in “Hanyeongjapyeong”. However, considering that “Hangyeong-Jabyeong” was a collection of poems in his later days, when he and his poetic work was in thier mature stage, it is believed that it is possible to get a glimpse of Sammyeong Kang Jun-heum's poetic world through “Hangyeong-Jabyeong”.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
55권 0호 ~ 55권 0호 |
|
87권 0호 ~ 87권 0호 |
|
74권 0호 ~ 74권 0호 |
|
43권 0호 ~ 43권 0호 |
|
65권 0호 ~ 65권 0호 |
|
80권 0호 ~ 80권 0호 |
|
50권 0호 ~ 50권 0호 |
|
73권 0호 ~ 73권 0호 |
|
90권 0호 ~ 90권 0호 |
|
85권 0호 ~ 85권 0호 |
|
58권 0호 ~ 58권 0호 |
|
56권 0호 ~ 56권 0호 |
|
41권 0호 ~ 41권 0호 |
|
86권 0호 ~ 86권 0호 |
|
83권 0호 ~ 83권 0호 |
|
48권 4호 ~ 48권 4호 |
|
72권 0호 ~ 72권 0호 |
|
29권 0호 ~ 29권 0호 |
|
28권 0호 ~ 29권 0호 |
소설시대 |
23권 0호 ~ 23권 0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