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KCI 등재
마틴 부버의 나-너 관계 체험과 무용교육
I-Thou Relationship of Martin Buber and Dance Education
신현군(HyunKunShin)
UCI I410-ECN-0102-2021-600-000193659

마틴 부버가 제시한 ‘나-너의 관계’는 무용이 수반하고 있는 본질적 및 구조적 맥락의 뿌리를 규명하는 이론적 틀을 제공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수행자의 관점에서 부버가 제시한 ‘나-너의 관계’ 체험을 현상학적으로 조명하고, 수행체험의 본질과 실체를 명료화하고, 무용교육에의 함축적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있었다. 다음 사항들이 연구의 결과로서 명료화 되었다. 첫째, 부버의 ‘나-너의 관계’는 인간의 실존의 가치와 의미를 보다 극대화 시켜줄 수 있는 인격적 만남의 세계이며, 의식-신체가 역동적으로 구현되어 표출되는 간-주관적 체험의 형태로서 무용의 장에서 전개되고 있다. ‘나-너의 관계’ 형성은 무용수를 무용수로서 자리매김하는 것임과 동시에 모든 것들이 함께 공존하는 동등한 존재자로서 대우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12명의 발레 및 댄스 스포츠 수행자들의 파트너와의 관계성 체험을 통하여 부버가 제시한 5가지 요소인 상호성, 직접성, 현재성, 강렬성, 표현 불가능성 내에서 무용에서의 ‘나-너 관계’ 체험 현상의 본질과 그 의미를 범주화해볼 수 있었다: 셋째, 나-너 체험의 본질적 가치들이 무용교육의 목적에 반영되어야 하며, 신체의 기량 만능주의로 전락하는 무용교육의 대안으로서 체험의 범주들이 무용교육 현장에서 공유되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essential nature and structure of the dance experience of 'I-Thou Relationship' of Martin Buber from the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This study focused its concern into the subjective experience of ballet and sport dancer's intrinsic relationship with their partners. The followings were articulated as the result of this study. First, the nature of I-Thou Relationship would be an encounter which maximizes the value and meaning of human being's existential status. It is a relation between dancer and dancer through human body in personally and socially. Second, the experiential nature and the structure of 'I-Thou relationship in duet performance were examined and conceptualized within five characteristics : mutuality, directness, presence, intensity, ineffability. Finally, some educational implications would be the tool for developing dance education: 1) dance education as communicating experience of bodily movements and subjective awareness. 2) dance education directing and promoting social relationship and perceiving others.

서론

부버의 실존주의사상과 나-너 관계성

무용수행과정에서의 상호관계 형성

무용에서의 나-너 체험의 양상과 의미

무용 교육에의 함축적 시사점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