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Jeong Jae-man’s Dance Life History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본 연구의 목적은 문헌 자료들을 바탕으로 벽사 정재만(鄭在晩, 1948~2014)의 춤 생애사를 연구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갑작스러운 타계로 인해 정재만의 춤에 대한 사적(史的) 자료가 거의 전무한 것과 사후 그에 대한 연구와 이론적 배경이 구축되어 있지 않는 한계를 극복하고자 연구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시작하였다. 자료수집은 연구자료 및 언론기사, 인터뷰 등 문서에 기록된 자료들을 수집하였고 연구방법은 생애사 연구의 텍스트 분석 방법인 총체적 형태에서 본 연대기적 분류를 통해 연구하였다. 그 결과 정재만의 춤 생애사를 총 5기로 분류하고 제1기 ‘성장기(成長期)’, 제2기 ‘활동기(活動期)’, 제3기 ‘구축기(構築期)’, 제4기 ‘전승기(傳承期)’, 제5기 ‘전수기(傳授期)’로 나누어 사적 흐름을 고찰하였다. 벽사 정재만의 춤 생애사 연구는 그의 춤을 보전, 계승하는 후학들에게 기반이 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 나아가 춤과 같은 무형문화의 사적 흐름을 분석하는 평가 준거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ance life history of Jeong Jae-man (鄭在晩, 1948-2014) based on the documents. This study was to lay the foundation for future studies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insufficient historical data on Jeong Jae-man's dance due to his sudden death and the lack of theoretical background for posthumous studies on his dance. The data used for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research data, media articles, interviews and other materials, the research method was studied by classifying chronological order in the total form, which is the method of text analysis in the study of living history. As a result, the dance life history of Jeong Jae-man was divided into five categories: the first period ‘Growth’, the second period ‘Activity’, the third period ‘Career-Building' and the fourth period of ‘Handing down', and the fifth period of ‘Transmission'. The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useful academic data to his junior colleagues who preserve and transfer his dance and to serve as an evaluation reference in analyzing the historical flow of intangible culture. The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useful academic data to younger generation of students who suceeed and preserve and his dance and to serve as an evaluation reference in analyzing the historical trend of flow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
80권 4호 ~ 80권 4호 |
|
31권 4호 ~ 31권 4호 |
|
59권 0호 ~ 59권 0호 |
|
78권 6호 ~ 78권 6호 |
|
38권 4호 ~ 38권 4호 |
|
37권 4호 ~ 37권 4호 |
|
78권 5호 ~ 78권 5호 |
|
38권 3호 ~ 38권 3호 |
|
58권 0호 ~ 58권 0호 |
|
79권 3호 ~ 79권 3호 |
|
31권 3호 ~ 31권 3호 |
|
78권 4호 ~ 78권 4호 |
|
37권 3호 ~ 37권 3호 |
|
57권 0호 ~ 57권 0호 |
|
38권 2호 ~ 38권 2호 |
|
15권 0호 ~ 23권 0호 |
|
78권 2호 ~ 78권 2호 |
|
24권 0호 ~ 34권 0호 |
|
35권 2호 ~ 45권 6호 |
|
46권 1호 ~ 57권 6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