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Conscientiousness and Intellectual Investment Trait on Job Knowledge and Task Performance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본 연구의 목적은 von Stumm과 Ackerman(2013)이 제안한 지적투자특성의 구성개념을 확인하고 성실성과 지적투자특성이 업무지식을 매개로 과업수행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는데 있다. 일차 조사에는 성인 203명(여성 132명, 남성 64명, 무응답 7명)이 참여하였고(평균 연령=29.25, 표준편차=10.30), 이차 조사에는 국내통신사에서 근무중인 전화상담사 211명(여성 183명, 남성 28명)이 참여하였다(평균 연령=29.78, 표준편차=5.37). 지적투자특성 관련 척도(전형적 지적참여, 인지욕구, 호기심)의 72개 문항을 토대로 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총 5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이들 요인은 지적사고선호, 지적호기심, 지적도전, 지적해결몰두, 지적여가활동이다. 이 5개 요인에 대한 교차타당화 목적으로 실시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전반적 부합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적투자특성이 업무지식에 미치는 증분적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성실성이 업무지식에 미치는 효과를 통제하고도 지적투자특성의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성실성이 업무지식과 과업수행에, 지적투자특성이 업무지식과 과업수행에 영향을 주는 구조방정식 모형에 대한 검증결과, 모형의 전반적 부합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경로지수에 대한 분석 결과 성실성에서 업무지식과 과업수행으로 가는 두 개의 경로와 지적투자특성에서 업무지식, 업무지식에서 과업수행으로 가는 경로계수는 모두 정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실성에서 업무지식을 경유하여 과업수행으로 가는 간접효과와 지적투자특성에서 업무지식을 경유하여 과업수행으로 가는 간접효과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ositive direct effect of conscientiousness and intellectual investment trait on job knowledge and to examine indirect effect of two personality traits on task performance. Prior to test the above relationship, constructs of intellectual investment trait suggested by von Stumm and Ackerman(2013) were confirmed. Two surveys were conducted. In the first survey, 203 adults(132 females, 64 males, 7 no response) participated(average age=29.25, SD=10.30) and in the second, 211 telemarketers(183 females, 28 males), working for a telecommunication company, participated(average age=29.78, SD=5.37). As a result of EFA analysis of 72 items of the intellectual investment trait scales(typical intellectual engagement, need for cognition, curiosity), total 5 factors were extracted. The 5 factors are preference for thinking, intellectual curiosity, intellectual challenge, intellectual absorption, intellectual leisure activity. And satisfactory construct validity of the intellectual investment trait consisting of the 5 factors was identified by CFA. As a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for testing incremental effect of intellectual investment trait on job knowledge, the effect of this variable was significant even after controlling the effect of conscientiousnes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bout whether two personality traits influence to job knowledge and task performance showed acceptable overall fit. In the model, coefficients of two paths from conscientiousness to job knowledge and task performance, a path from investment trait to job knowledge, and a path from job knowledge to task performance were positively significant. And the indirect effect from two personality traits to task performance through job knowledge were positively significant.
I410-ECN-0102-2019-300-001125442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지역사회 현안과 담론 |
19권 0호 ~ 19권 0호 |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이슈페이퍼 |
2021권 1호 ~ 2021권 2호 |
문명연지 |
21권 1호 ~ 21권 1호 |
|
128권 0호 ~ 128권 0호 |
|
37권 0호 ~ 37권 0호 |
|
52권 4호 ~ 52권 4호 |
|
21권 2호 ~ 21권 2호 |
|
74권 0호 ~ 74권 0호 |
|
14권 3호 ~ 14권 3호 |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이슈페이퍼 |
2020권 21호 ~ 2020권 22호 |
|
46권 3호 ~ 46권 3호 |
|
53권 0호 ~ 53권 0호 |
|
28권 2호 ~ 28권 2호 |
|
44권 3호 ~ 44권 3호 |
|
51권 2호 ~ 51권 2호 |
|
26권 3호 ~ 26권 3호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구 여가웰니스학회지) |
11권 2호 ~ 11권 2호 |
|
18권 2호 ~ 18권 2호 |
|
14권 3호 ~ 14권 3호 |
|
28권 4호 ~ 28권 4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