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lationship between Job Insecurity and Employee Cooperation Behavior: The Mediating Effect of Workaholism and Moderating Effect of Goal Interdependence
Ⅰ. 서론 II. 방법 III. 결과 IV. 논의 참고문헌
본 연구의 목적은 조직 구성원이 인식하는 직무 불안정성이 조직 구성원의 협력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을 이해하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직무 불안정성이 조직 구성원 협력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직무 불안정성과 협력행동 간 관계를 강박적 일중독과 성취지향적 일중독이 매개하는지 검증하였고, 마지막으로 목표상호의존성이 강박적 일중독, 성취지향적 일중독과 조직 구성원 협력행동 간 관계를 조절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다양한 기업에 근무하는 직장인 21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직무 불안정성과 조직구성원 협력행동과 부적인 관련이 있었으며, 강박적 일중독과 성취지향적 일중독은 직무 불안정성과 조직 구성원 협력행동 간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강박적 일중독과 조직구성원 협력행동은 부적인 관계를, 성취지향적 일중독과 조직 구성원 협력행동은 정적인 관련이 있었다. 또한 강박적 일중독과 조직 구성원 협력행동 간 부적인 관계는 목표상호의존성이 높을 때보다 낮을 때 더 강하게 나타났다. 끝으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학문적 의의, 실무적 시사점, 그리고 제한점 및 향후 연구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job insecurity on employee cooperation behavior and the mediating effect of workaholism. Also,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goal interdepend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aholism and employee cooperation behavior. Using the survey research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219 employees who were working in a variety of organizations in Korea. As results, job insecurity had negative relationship with employee cooperation behavior. And workaholism had partial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insecurity and employee cooperation behavior. And goal interdependence had moder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ulsive-dependent workaholism and employee cooperation behavior. That is,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compulsive-dependent workaholism and employee cooperation behavior was weaker when goal interdependence was high rather than low. On the other hand, the moderating effect of goal interdependence on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 oriented workaholism and employee cooperation behavior was not significant. Finally,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I410-ECN-0102-2019-300-001125437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지역사회 현안과 담론 |
19권 0호 ~ 19권 0호 |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이슈페이퍼 |
2021권 1호 ~ 2021권 2호 |
문명연지 |
21권 1호 ~ 21권 1호 |
|
128권 0호 ~ 128권 0호 |
|
37권 0호 ~ 37권 0호 |
|
52권 4호 ~ 52권 4호 |
|
21권 2호 ~ 21권 2호 |
|
74권 0호 ~ 74권 0호 |
|
14권 3호 ~ 14권 3호 |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이슈페이퍼 |
2020권 21호 ~ 2020권 22호 |
|
46권 3호 ~ 46권 3호 |
|
53권 0호 ~ 53권 0호 |
|
28권 2호 ~ 28권 2호 |
|
44권 3호 ~ 44권 3호 |
|
51권 2호 ~ 51권 2호 |
|
26권 3호 ~ 26권 3호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구 여가웰니스학회지) |
11권 2호 ~ 11권 2호 |
|
18권 2호 ~ 18권 2호 |
|
14권 3호 ~ 14권 3호 |
|
28권 4호 ~ 28권 4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