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untermeasures of Hate Crime Cases through Multicultural Human Rights Education-Focused on Hate Crime Cases in Second and Third generations of French Immigrants
10.35431/MINJOK.74.6
Ⅰ. 서 론 Ⅱ. 증오범죄 이론과 프랑스 증오범죄 사례 Ⅲ. 프랑스 증오범죄가 한국의 다문화사회에 주는 시사점 Ⅳ. 증오범죄 대응방안으로서의 다문화교육 방향 성찰 Ⅴ. 맺음말 참고문헌
본 연구는 한국보다 앞서 이민사회가 정착된 유럽의 증오범죄 사례를 통해 한국사회에 주는 시사점을 찾아보고 이를 예방하기 위한 방안으로 다문화인권교육을 제시하고자 한다. 증오범죄는 일반범죄보다 피해의 정도가 크고 회복기간 또한 길다. 다문화 인구가 증가하는 우리 사회도 증오범죄의 안전지대라 할 수 없다. 이민배경 2,3세에 의해 프랑스에서 발생한 증오범죄는 프랑스 다문화정책의 여러 문제점을 드러나게 했다. 평등에 집착한 프랑스식 다문화주의는 이민자를 경제적 소외계층으로 만들었고 마그레브 국가를 향한 식민지 프레임은 이민자에 대한 편견을 버리지 못하게 했다. 범죄자 대다수가 무슬림이라는 사실에 집중된 보도는 ‘이슬람포비아’를 생성했다. 이민자와의 진정한 사회통합을 통해 범죄를 예방하기 위한 다문화정책과 다문화교육은 탈정치이념의 시민윤리가 실천될 수 있는 인권교육으로 발전해야한다. 이민자들이 당당한 사회의 일원으로 성장하여 사회를 향한 분노를 가지지 않을 때 증오범죄는 예방될 것이다.
This paper is to find the implications and preventions of hate crimes from the example of the recent European case especially with immigrant society and its notable hate crimes including terorism in Banlieues, France in 2005. This paper suggest multicultural human rights education for prevention of hate crimes. The hate crimes by second and third generations from French immigrant backgrounds revealed several issues of multiculturalism policy in France. Korean society should also consider this and try to prevent the similar result from happening in the future. French multiculturalism based on equality has converted immigrants into the underprivileged, and the majority of the criminals are muslims created 'Islamophobia' immigration issues. Multicultural policy and education to pursue genuine social integration with immigrants and crime prevention should develop into human rights education for citizenship. Then they are able to think outside the box and possess the post-racial citizenship through human rights education based on 'Respect for human dignity and universal human rights' by Bennet, which can make them grow up into a member of society and prevent hate crimes.
I410-ECN-0102-2021-300-000309683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이슈페이퍼 |
2021권 4호 ~ 2021권 5호 |
|
54권 0호 ~ 54권 0호 |
|
29권 1호 ~ 29권 1호 |
|
14권 4호 ~ 14권 4호 |
|
24권 1호 ~ 24권 1호 |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이슈페이퍼 |
2021권 3호 ~ 2021권 3호 |
사회과학연구 |
14권 1호 ~ 14권 1호 |
|
33권 2호 ~ 33권 2호 |
|
77권 0호 ~ 77권 0호 |
|
27권 1호 ~ 27권 1호 |
|
22권 1호 ~ 22권 1호 |
지역사회 현안과 담론 |
19권 0호 ~ 19권 0호 |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이슈페이퍼 |
2021권 1호 ~ 2021권 2호 |
문명연지 |
21권 1호 ~ 21권 1호 |
|
128권 0호 ~ 128권 0호 |
|
37권 0호 ~ 37권 0호 |
|
52권 4호 ~ 52권 4호 |
|
21권 2호 ~ 21권 2호 |
|
74권 0호 ~ 74권 0호 |
|
14권 3호 ~ 14권 3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