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5.216.196
3.135.216.196
close menu
KCI 등재
부부친밀감이 영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의 양육일치도와 아버지 양육참여의 이중매개효과
Mediating effects of consensus of parenting attitudes and father’s involvement in child rear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intimacy and maternal parenting stress
정미라 ( Chung Mi Ra ) , 최혜정 ( Choi Hye Jeong ) , 강수경 ( Kang Su Kyoung )
유아교육연구 39권 4호 195-212(18pages)
UCI I410-ECN-0102-2021-300-000313634

본 연구는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가 인식하는 부부친밀감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의 양육일치도와 아버지 양육참여의 이중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경기도에 거주하고 12개월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757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프로그램 SPSS 23.0과 AMOS 23.0을 이용해 기술통계, 상관분석, 구조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친밀감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부친밀감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양육일치도의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부부친밀감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아버지 양육참여의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넷째, 부모의 양육일치도와 아버지 양육참여는 부부친밀감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mediating effects of consensus of parenting attitudes and father’s involvement in child rear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intimacy and maternal parenting stress. The participants were 757 mothers whose infants aged 12 months in Seoul and Gyeonggi-do.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e equation modeling analysis using statistical program SPSS 23.0 and AMOS 23.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marital intimacy directly influenced maternal parenting stress. Second, the mediating effects of consensus of parenting attitudes were significa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intimacy and maternal parenting stress. Third, the mediating effects of father’s involvement in child rearing were significa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intimacy and maternal parenting stress. Fourth, consensus of parenting attitudes and father’s involvement in child rearing were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intimacy and maternal parenting str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pecific strategies for reducing mother’s parenting stress were discussed.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