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88.91.223
18.188.91.223
close menu
KCI 등재
사망연령에 대한 계층별 인지 오류와 시사점
Cognitive Error on the Age of Death by Stratum and Its Implications
김대환 ( Dae-hwan Kim ) , 정현우 ( Hyun-woo Jung ) , 이동현 ( Dong-hyun Lee ) , 성미언 ( Mi-eon Seung )
UCI I410-ECN-0102-2021-300-000320666

한국은 근 반 세기 간 급격한 기대수명의 증가로 인해 예상보다 오래 생존함에 따른 장수리스크에 직면해 있다. 반대로 100세 시대라는 통용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본인의 실제 수명보다 오래 생존할 것이라는 오인 역시 소비평탄화를 통한 효용 극대화를 저해하여 기대수명의 과대평가를 유발할 수 있다. 수명과 관련한 리스크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경제주체가 본인의 기대수명을 보다 정확히 인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재정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해 사망 연령에 대한 인지 오류를 유발하는 요인들을 계층별로 추정하고, 표준화계수를 활용해 상대적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성별과 연령이 사망연령을 과소·과대평가하게 하는 가장 큰 결정요인이었다. 남성의 경우 여성에 비해 자신의 기대수명을 4.43세 정도 과대평가하고 있었다. 반대로 연령은 1살 증가할 때마다 자신의 수명을 0.13세 과소평가하였고, 특히 고령자의 과소평가 가능성이 컸다. 남성들의 경우 여성의 수명을 본인의 수명으로 인지하여 과대평가하는 반면 고령자는 주변 지인의 사망을 통해 본인의 기대 수명을 낮게 추정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수명 관련 리스크를 관리하기 위해 최소한 성별과 연령그룹별로 기대수명에 대한 좀 더 정확한 정보가 전달될 수 있는 교육이 중요하다 하겠다.

Due to the rapid increase in life expectancy for last fifty years, Korean society is experiencing a longevity risk with aging society and reduced total fertility rate. In contrast, the misunderstanding by the belief that people can live more than their actual lifespan can cause the over-estimate on one’s death age, which hinders the maximization of personal utility through consumption smoothing. In order to manage risk related to lifespan, the most important thing is recognizing individual’s life expectancy. Therefore, this research hierarchically estimates the main factors that beget cognitive error on one’s life span, and analyzes relative effects by using a standardized coefficient through panel data from National Survey of Tax and Benefit.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gender and age a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that have effect on the misconception on life expectancy. Men are more likely to overestimate their lifespan by 4.43 years compared to women. On the contrary, as age increases 1 year, people underestimate their lifespan by 0.13 year, so that elder people are more likely to be confronted by longevity risk. We can judge that men overestimate their lifespan by regarding women’s lifespan as theirs, and the elder underestimate their lifespan through their acquaintances’ death. Consequently, in order to manage risk relevant to life expectancy, it is important to educate people and give more precise information at least by gender and age groups.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Ⅲ. 실증분석 모형 및 자료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