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Business Start-up and Closing Business according to the Type of Industry
1. 서론 2. 데이터 및 현황 3. 업종별 창업과 폐업 분포에 나타나는 공간적 특징 4. 업종별 창업과 폐업 분포와 지리적 변수의 관계 분석 5. 결론 주 참고문헌
본 연구에서는 창업과 폐업을 지리적 맥락에서 검토한다. 특히 업종에 따라 창업과 폐업의 지리적 특성을 밝히고 이들에 작용하는 지리적 요소 및 그 영향을 파악한다. 이를 위하여 창업에 대한 자료 수합이 이루어지는 지역단위인 전국의 시·군·구를 대상으로 지금과 같은 경제상황의 단초가 마련된 금융위기 이후 10년의 자료를 활용한다. 먼저 창업과 폐업의 지리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개인 및 법인의 공간적 분포 양상을 검토하고, 이들의 지리적 분포를 설명하는 일반선형회귀모형과 공간회귀모형을 구축한다. 분석결과, 창업 입지분포를 결정하는 요인과 폐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개인과 법인 간, 개인의 창업과 폐업 간에 다소 상이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창업을 독려하여 일자리을 창출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고자하는 국가 및 지방정부의 지역계획에 기초적 자료가 될 것이다.
In this study, we examine business start-up and closing business in a geographical context. In particular, we analyze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business start-up and closing business according to the type of industry. For the purpose, we use the last 10 years data that have been related with current economic situation since the financial crisis. In first, we identify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business start-up and closing business, We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individual businesses and corporations. Finally, we construct general linear regression models and spatial regression models for them, and derive meaningful socioeconomic variables that explain their location distribu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provide basic data for regional planning of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that activate local economies as well as job creation.
I410-ECN-0102-2019-300-001117206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저널 물 정책·경제 |
32권 0호 ~ 32권 0호 |
|
29권 5호 ~ 29권 5호 |
공공기관 현황편람 |
2019권 0호 ~ 2019권 0호 |
|
31권 2호 ~ 31권 2호 |
|
21권 3호 ~ 21권 3호 |
|
24권 3호 ~ 24권 3호 |
|
16권 3호 ~ 16권 3호 |
KIRI 리포트(포커스) |
478권 0호 ~ 480권 0호 |
손해사정연구 |
20권 0호 ~ 20권 0호 |
|
48권 3호 ~ 48권 3호 |
재정포럼 |
280권 0호 ~ 280권 0호 |
|
12권 3호 ~ 12권 3호 |
주간금융브리프 |
28권 19호 ~ 28권 20호 |
해양한국 |
2019권 11호 ~ 2019권 11호 |
|
33권 3호 ~ 33권 3호 |
Asia-Pacific Journal of EU Studies |
17권 1호 ~ 17권 1호 |
Asia-Pacific Journal of EU Studies |
17권 2호 ~ 17권 2호 |
이슈리포트 |
2019권 3호 ~ 2019권 4호 |
|
22권 3호 ~ 22권 3호 |
보험연구원 연구보고서 |
2019권 2호 ~ 2019권 2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