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ue analysis of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using topic analysis
1. 서론 2. 텍스트 데이터의 토픽 분석 3. 데이터 수집 및 분석 4. 결론 References
지난 2018년, 우리사회를 뜨겁게 달구었던 이슈 중 하나로 대입제도 개편에 관한 논쟁을 꼽을 수 있겠다. 그 중에서도 학생부종합전형에 대한 쟁점이 무엇인가를 파악하기 위해 감시와 비판이라는 언론의 기능에 주목하여 관련 뉴스기사에 대한 토픽 분석을 시도해 보았다. 그 결과 수능체제 개편 논의가 비중있는 주제로 등장하여 수능시험에 대한 한국 사회의 민감성을 보여 주었다. 학생부종합전형과 직접적 관련이 있는 주제로는 학생부종합전형의 세부적인 선발 요소에 대한 논의가 등장하였고, 대입전형의 공정성에 관한 논의와 밀접한 관계를 보였다.
An important issues in Korea society in 2018 was the revision of the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system. Among the discussions, in order to grasp what the issue of admission officer system is, attention was focused on the function of media such as monitoring and criticism as well as the tried topic analysis of related news articles. As a result, the reorganization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was derived and showed the sensitivity of Korean society towards the CSAT. Topics directly related to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were the selection factor and fairness of the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system in relation to the selection factor.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
32권 5호 ~ 32권 5호 |
|
26권 5호 ~ 26권 5호 |
|
32권 4호 ~ 32권 4호 |
|
26권 4호 ~ 26권 4호 |
|
32권 3호 ~ 32권 3호 |
|
26권 3호 ~ 26권 3호 |
|
32권 2호 ~ 32권 2호 |
|
26권 2호 ~ 26권 2호 |
|
26권 1호 ~ 26권 1호 |
|
32권 1호 ~ 32권 1호 |
|
31권 6호 ~ 31권 6호 |
|
25권 6호 ~ 25권 6호 |
|
31권 5호 ~ 31권 5호 |
|
25권 5호 ~ 25권 5호 |
|
31권 4호 ~ 31권 4호 |
|
25권 4호 ~ 25권 4호 |
|
31권 3호 ~ 31권 3호 |
|
25권 3호 ~ 25권 3호 |
|
31권 2호 ~ 31권 2호 |
통계연구 |
20권 0호 ~ 20권 0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