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erminants of Teenage Mother’s Psychological Well-being in Kamuli District, Uganda
Ⅰ. Introduction 2. Methods 3. Results 4. Qualitative analysis 5. Discussion and Conclusion 6. Limitations REFERENCES
연구 목적 : 본 연구에서는 10대에 임신과 출산을 경험한 우간다 카물리구 여성들의 심리적 건강상태와 사회적 환경에 대해 알아보고, 그들의 심리적 건강 결정요인을 조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카물리구의 15~25세 임신 및 출산 경험 여성 13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t-test, ANOVA,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한다. 양적연구의 연장선에서 보호자 10명, 사회복지사 10명, 보건종사자 6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진행하며, 질적 분석을 실시한다. 연구결과 :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연구대상자의 75.7%가 싱글이었고 57.5%가 낮은 경제적 위치에 있었다. 14~15세에 첫 임신을 경험하였으며, 69.1%가 도움을 전혀 받고 있지 않았다. 특히, 10대 여성의 경제적 상황과 첫 임신 나이는 심리적 건강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스티그마(사회적 오명)와 영양 습관은 10대 여성의 심리적 건강에 결정적인 요인으로 나타났다. 인터뷰 결과에 따르면, 10대 여성들은 임신과 출산을 통해 가정과 사회에서 부정당하며 스티그마를 경험하고, 이로 인해 스스로를 격리시키고 심리적 건강이 더욱 악화되고 있었다. 결론 : 우간다의 10대 여성들의 정신적 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해, 커뮤니티의 보다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커뮤니티의 인식개선을 위한 건강 캠페인, 그룹별(예. 보호자, 10대 여성)로 진행하는 체계적인 보건 교육 등이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determinants of teenage mothers’ psychological well-being in Kamuli District, Uganda. Being that the rate of teenage motherhood is very high in Uganda among all African countries, this study examines how stressors and coping resources affect teenage mother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attempts to address the social stigma and barriers underlying this problem from a community level. Methods: The sample population is 136 young mothers aged 15-25 from the 13 sub-counties in Kamuli District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during January and February of 2017 using non-probabilistic sampling method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t-test, analysis of variance,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deduce the underlying problems faced by young mothers, parents of teenage mothers, social welfare officers and health workers in the community were interviewed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Results: The analyses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eenage mothers’ psychological well-being according to their economic status and the age of first pregnancy. The primary determinants of the teenage mothers’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e Kamuli District of Uganda are stigma and nutritional behavior. Interview data depicts that there is insufficient support available at home, and there are high barriers to economic and emotional security in place in the form of community associated social stigma. Conclusion: In order to improv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teenage mothers in Kamuli District, it is necessary to reduce individual and systemic social stigma, as well as provide young mothers with economic and social support. For this, social interventions such as targeted education is urgently needed for different groups including teenagers as a whole, pregnant adolescents, adolescent mothers, parents of teenagers, community leaders, and opinion leaders.
I410-ECN-0102-2019-500-001604273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
30권 4호 ~ 30권 4호 |
|
30권 4호 ~ 30권 4호 |
|
26권 4호 ~ 26권 4호 |
대한인수공통전염병학회 학술발표초록집 |
2020권 1호 ~ 2020권 1호 |
|
20권 6호 ~ 20권 6호 |
|
46권 4호 ~ 46권 4호 |
|
45권 4호 ~ 45권 4호 |
한국보건행정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20권 2호 ~ 2020권 2호 |
|
24권 4호 ~ 24권 4호 |
|
20권 5호 ~ 20권 5호 |
|
30권 3호 ~ 30권 3호 |
|
26권 3호 ~ 26권 3호 |
|
30권 3호 ~ 30권 3호 |
|
46권 3호 ~ 46권 3호 |
|
45권 3호 ~ 45권 3호 |
|
20권 4호 ~ 20권 4호 |
|
24권 3호 ~ 24권 3호 |
|
30권 2호 ~ 30권 2호 |
|
30권 2호 ~ 30권 2호 |
한국보건교육학회지 |
6권 1호 ~ 6권 1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