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KCI 등재
정지용의 <카페·프란스>와 타자로서의 일본
< Cafe France > of Poet Jeong Ji-yong meet Japan As a Other
김응교 ( Kim Eunggyo )
한국언어문화 68권 55-87(33pages)
UCI I410-ECN-0102-2019-700-001667783

조선 시인들의 이중적 삶과 작품은 비단 1940년대 일제말 친일과 저항의 논리는 한국적 상황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파시즘을 경험했던 전 인류의 경험이었다. 분명 일본어시는 한국 근현대문학사에 불행한 흔적을 남겼다. 그러나 일본어로 시를 썼다고 그 의미를 절맥(絶脈)의 역사로 보아서는 안 된다. 일본어로 발표했던 정지용의 <카페·프란스>를 분석하면서 오히려 ‘조선적인 것’을 잊지 않으려 했던 시인의 성찰을 살펴보았다. 아울러 일본에서 일본어로 고향 제주도를 절절하게 그려낸 김이옥, 종추월 시인의 시도 기억해야 할 것이다. 김시종은 일본어의 문법을 파괴하는 새로운 시도로, 파괴된 일본어를 통해 일본적 체계를 전복(顚覆)시키는 실험을 했다. 그의 시와 산문에서 ‘일본’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이글은 ‘부분적’인 방향만 드러내 보였다. 사실 이 주제는 한 편의 논문으로 다루기에는 지나치게 큰 주제다. 다음 논문에서 좀더 깊게 접근해 보고 싶다. 이 작은 시도를 통해 확인 것은 ‘일본적인 것/ 조선적인 것’의 만남은 ‘정지용’ 속에서 대립하고 때로는 융합하면서 정지용 문학을 풍부하게 하는 자양분이 되었다는 사실이다. 이들의 시는 ‘한글시=저항=절대선 / 일본어시=친일=절대악’이라는 이분법을 해체하는 미묘한 대목이 있다. 식민지 시대 때 정지용은 일본어로 창작하면서도 민족의식과 한글을 지켜내는 독특한 길을 걸었다. 백석, 윤동주, 박두진 등이 일본어 시를 남기지 않은 경우와 다른 상황이다. ‘일본적인 것/ 조선적인 것’의 만남은 정지용 문학 속에서 융합하면서 그들의 문학을 풍부하게 하는 자양분이 되었다.

The double life and work of the poets of the Joseon dynasty is not limited to the Korean situation, but the experience of the whole human race who experienced fascism. Clearly, the Japanese language left unfortunate traces in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literature. However, Even though any poet wrote poetry in Japanese, it should not be seen as a broken history. I analyzed the poet’s reflections, which he did not want to forget about’ Chosun’, while analyzing Poet Jeong Ji-yong’s < Cafe·France >, which was published in Japanese. In addition, it should be remembered that Kim Il-ok and Jongchukwon poet who painted Jejudo in their hometown in Japan in Japanese. Kim Ji-jong was a new attempt to destroy the grammar of Japanese, and experimented with overturning the Japanese system through destroyed Japanese. This small attempt confirms that the encounter of ‘Japanese / Chosun’ is a nourishing way to enrich the literary literature by conflicting and sometimes merging in ‘Jeong Ji-yong’. These poems have a subtlety that dismantles the dichotomy of ‘Hangul poetry=resistance=absolute Good/ Japanese poetry=pro-Japan=absolute Bad’. During the colonial period, Jung Yong Yong walked a unique way of preserving national consciousness and Hangul while creating Japanese. It is different from Poet Baek seok, Yoon Dong-ju, and Park Doo-jin who did not leave Japanese poetry. The encounter of “Japanese/Chosun” was nurtured to enrich their literature by merging in the literature of the poetry.

1. 일본(어) 그리고 임시정부 100주년
2. <카페·프란스>와 디아스포라의 타자성
3. 정지용의 ‘조선적인 것’과 타자성
4. 언어/국가를 넘어-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