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design and development of 'Sales language course' at K-MOOC
Ⅰ. 서론 Ⅱ. 교육 설계 모델 Ⅲ. 개발 대상 및 아이템 분석 Ⅳ. 판매외국어 콘텐츠 개발 및 평가 Ⅳ. 결론 참고문헌
공개교육자원운동이 2002년 MIT에서 시작된 이래 고등교육이 온라인플랫폼을 통해 대중화되는 현상이 전 세계적으로 이어져 왔다. 이런 흐름에 맞물려 국내에서도 2015년부터 K-MOOC 플랫폼에서 국내 유수의 대학들이 강좌를 개설하였다. 그러나 2015년부터 2017년까지 3년의 기간 동안 K-MOOC플랫폼에는 외국어회화 수업이 개설되지 못했다. 온라인교육이 갖는 상호작용의 한계는 대규모공개강좌의 회화수업 개설에 적지 않은 어려움을 주고 있다. 이에 본고의 연구진은 기존 객관주의 교수설계체제 모형, 구성주의 교수설계체제 모형, 온라인 교육을 위한 교수설계체제 모형 중 전형적인 것들을 검토하고 온라인 회화수업에 적합하도록 변형하여 판매외국어강좌를 개발해보았다. 본고가 개발한 교수설계체제는 ADDIE 체제를 기반으로 하는 NBISD 모형의 단점인 선형성을 극복하여 순환적으로 작용하게끔 변형하였다. 또한 원형검토(Rapid Prototype) 방식의 장점인 초기개발 후 얻어진 피드백을 강좌에 반영하였다. 뿐만 아니라 개강이후 주어지는 피드백도 운영 중 최대한 반영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교수설계모형을 구상한 후에는 설계 모형에 맞추어 강좌를 분석하고 기획 개발하였다. 또한 전문가의 피드백과 학습자의 평가를 수업에 반영하여 순환성 있는 강좌 운영방식을 제시하였다.
After MIT initiated the OER (Open Education Resources) movement in 2002, online platforms have led the way in spreading higher education around the globe. South Korea is no exception, and many universities in the country are offering courses via the K-MOOC platform. However, conversational language courses have not been offered from 2015 to 2017. The lack of interaction makes it difficult for large-scale conversational classes to be successful in an online platform. In this paper, we look into existing constructivist instructional design models, objectivist instructional design models, and representative models developed for online education. We modify and apply the findings to construct an effective online learning environment for a conversational language course to develop ‘a language course for sales representatives. The linear-structured NBISD model based on the ADDIE model is modified into a circular structure, and we take advantage of rapid prototyped models to apply the early feedbacks received right after initial development. Moreover, our model was designed so that feedbacks received throughout the course period could be incorporated. After the instructional design stage, we developed and analyzed the course based on the design. Lastly, we propose a circular course structure that reflects both student and expert feedbacks.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
60권 0호 ~ 71권 0호 |
|
59권 0호 ~ 66권 0호 |
|
72권 0호 ~ 82권 0호 |
|
53권 0호 ~ 53권 0호 |
|
67권 0호 ~ 74권 0호 |
|
75권 0호 ~ 82권 0호 |
|
75권 0호 ~ 82권 0호 |
|
29권 0호 ~ 29권 0호 |
|
43권 0호 ~ 43권 0호 |
|
83권 0호 ~ 89권 0호 |
|
27권 3호 ~ 27권 3호 |
|
54권 3호 ~ 54권 3호 |
|
60권 0호 ~ 60권 0호 |
한국어교육연구 |
14권 2호 ~ 14권 2호 |
|
76권 0호 ~ 76권 0호 |
중한언어문화연구 |
16권 0호 ~ 16권 0호 |
|
69권 0호 ~ 69권 0호 |
|
85권 0호 ~ 85권 0호 |
|
33권 2호 ~ 33권 3호 |
|
23권 3호 ~ 23권 3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