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51
216.73.216.51
close menu
KCI 등재
SCAMPER기법을 활용한 한국무용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연구
Development and Research of Korean Dance Education Program Using SCAMPER Technique
강은지 ( Kang Eun-ji ) , 차수정 ( Cha Su-jung )
UCI I410-ECN-0102-2019-600-001686007

본 연구는 SCAMPER 기법을 활용하여 창의력 신장을 위한 체계적인 한국무용프로그램으로 만드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자료를 토대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 된 프로그램은 경기도 광주시 소재 K초등학교 방과 후 한국무용반 12명을 대상으로 총 10차시로 적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질적 연구 방식으로 매 차시 작성한 현장일지, 사진, 동영상, 관찰일지를 자료로 활용하였다. 관찰일지는 총 10차시의 내용을 서술하였으며, 관찰일지를 통해 본 프로그램에 대한 자문화기술지를 작성하여 결과를 서술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체하기(S)는 탐구능력이, 결합하기(C)는 발상능력·구성능력이, 응용하기(A)는 신체표현능력이, 수정하기(M1)는 동작의 다각적 발상능력이, 확대하기 (M2)와 축소하기(M3)는 동작의 다양성과 감정표현력이, 다른 용도로 사용하기(P)는 표현의 다각적 인지능력이, 삭제하기(E)와 재배열하기(R2)는 문제 해결능력이, 반대로 하기(R1)는 창의적 발상 범위에 긍정적 변화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tilize SCAMPER technique to make it a systematic Korean dance education program to enhance creativity.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ese studies, the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the literature data. The program has been tested at K elementary school of Gyeonggi-do, Gwangju, 12 after-school danceclass students for 10 times and In order to derive the results, I used the field log, photos, videos, and observation logs, which were created by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each time. Observation log describes the content of the 10th session and describes the results of the self-culture descriptive journal about the program through observation lo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Substitution (s) has improved search skill, Combination (C) has improved conception skill and composition skill, Application (A) has improved body expression skill, Modification (M1) has improved multilateral idea skill, Zoom in (M2) and Zoon out (M3) are the variations in motion and the ability to express emotion skill, Usage in other method (P) has improved multilateral perception skill, Elimination (E) and Rearrangement (R2) has improblem solution skill, Opposite action (R1) has improved creative idea scope.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SCAMPER기법을 활용한 한국무용교육프로그램 개발
Ⅳ. SCAMPER기법을 활용한 한국무용교육프로그램 적용
Ⅴ. 논의
Ⅵ.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