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KCI 등재
주주인 이사에 대한 주주간 계약의 구속력 - 대법원 2013. 9. 13. 선고 2012다80996 판례 평석 -
A Shareholder Agreement and Its Binding Effect on a Shareholder-Director
노혁준 ( Hyeok-joon Rho )
외법논집 42권 1호 155-171(17pages)
UCI I410-ECN-0102-2019-300-001416160

이 판결은 주주간 계약의 주체인 주주가 동시에 이사인 경우, 주주간 계약이 이사로서의 행위에 대하여도 효력을 미치는지 판단한 최초의 대법원 판례이다. 사안에서의 주주간 계약은 주주총회의 의결권 행사 등 주주로서의 행위를 규율하기 위해 작성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단지 해당 주주가 이사라는 우연한 사정만으로 그가 이사로서 행위할 때에까지 위 주주간 계약의 구속을 받지는 않는다고 할 것이다. 대법원은 이사로서의 권한 행사와 주주로서의 권한 행사를 구분하면서 위 점을 명확히 하였다. 그 점에서 타당한 판결이라고 생각된다. 해외의 사례들도 주주로서의 권한과 이사로서의 권한을 구분하고 있다. 만약 원고들이 대표이사 직위를 확실히 확보하고자 하였으면 정관으로 대표이사의 선출을 주주총회의 권한으로 정해 두었어야 했다. 이러한 조치가 없는 상태에서 이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이사가 주주간 계약에 의해 구속받지 않는다는 결론은 당연한 것이다. 만약 사안을 달리하여 주주들이 그가 지명한 이사로 하여금 주주간 계약의 내용에 따라 행위하도록 지시하거나 영향력을 행사할 의무를 부담한다는 형태로 규정되어 있었다면(이른바 프로큐어 조항), 이러한 조항의 사법적 효력을 전면적으로 부인할 필요성은 크지 않다고 생각된다.

This paper is a commentary to recent Korean Supreme Court Case on Shareholder agreement. In this case, shareholders in a closed company reached a shareholder agreement (Agreement) that they shall exercise their voting rights in same direction as decided by the majority. Under the Agreement, any shareholder who breaches the agreement shall be subject to severe money penalty. The plaintiffs argued that the defendants breached the Agreement, among others, by voting against majority’s intent in electing the representative director at board meeting. The defendants, however, denied the claim: the voting at board meeting was beyond the scope of the Agreement because the voting was made under the capacity of director, not shareholder. The Supreme Court, as well as the Seoul Higher Court, stood by the defendants, stating that the Agreement shall be applicable only to exercise of shareholders’ rights and the voting at board meeting was different from that at shareholders’ meeting. The controversial point of this case is the shareholder, who was the party to the Agreement, also has status as the director (i.e. shareholder-director). A shareholder agreement can only bind shareholders who are parties to it. A director who is under the fiduciary duty to the company (or shareholders as a whole), should not be bound to a shareholder agreement. The same principle shall apply to a person who is both shareholder and director. The capacity as director should be separated from shareholder’s capacity. From this perspective, the Supreme Court decision followed the right direction. More complicated issues concerning a shareholder agreement, including the binding effect of procure provision, still need to be further explored, though.

Ⅰ. 들어가면서
Ⅱ. 주주간 계약의 한계
Ⅲ. 이사인 주주가 체결한 주주간 계약의 법률관계
Ⅳ. 사안의 검토
Ⅴ.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