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Effect of the Suicide Gatekeeper Training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in Seoul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Ⅵ. 참고문헌
· 연구목적 : 본 연구는 ‘교원을 위한 자살예방지킴이교육(Gatekeeper Training)’이 교내에서 자살위험 청소년을 조기발견하고 연계함에 있어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교원의 자살예방 인식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 연구방법 : 2018년 서울시자살예방센터를 중심으로 개발된 ‘교원을 위한 자살예방지킴이 교육’을 통해 자살에 대한 오해와 편견에 대한 인식변화 여부를 검증하기 위하여 2018년 9월 13일부터 10월 5일까지 서울시 내 초·중·고 5곳의 교원 107명에게 교육 전·후 동일한 설문을 진행한 후 사전사후변화를 분석하고자 SPSS 18.0을 통해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 연구결과 : ‘교원을 위한 자살예방지킴이 교육’을 참여하기 전과 참여한 후 ‘자살에 대한 오해’를 대응표본 T검정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결론 : 서울시자살예방센터에서 개발된 ‘교원을 위한 자살예방 지킴이 교육’이 초·중·고 교원들의 자살예방활동에 중요 요인이라 고 할 수 있는 자살에 대한 오해와 편견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줌으로써 효과성이 검증되었다.
· Objective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Suicide Gatekeeper Training for teachers’ awareness of suicide prevention which can play a crucial role in early detection and connection with adolescents at risk for suicide. · Methods : ‘Suicide Gatekeeper Training for teachers’ developed by Seoul Suicide Prevention Center in 2018 was conducted for 107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within the city of Seoul, We conducted the same questionnaire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to verify whether any misperception and bias on suicide change. Then, a paired sample t-test was performed by using SPSS 18.0 to analyze the pre-post change. · Results : As a result of the paired t-tes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post difference was found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in the Suicide Gatekeeper Training for teachers. The results of ‘Suicide Gatekeeper Training knew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results of the pre –post · Conclusion : As a result of the paired t-tes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post difference was found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in the Suicide Gatekeeper Training for teachers. The results of ‘Suicide Gatekeeper Training knew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results of the pre -post
I410-ECN-0102-2019-500-001556667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정신병리학 |
24권 2호 ~ 24권 2호 |
|
24권 3호 ~ 24권 3호 |
인권교육 매뉴얼 이어달리기 |
0권 0호 ~ 0권 0호 |
첫 삽화를 경험하는 청년과 만나기, 달맞이 |
0권 0호 ~ 0권 0호 |
정신건강 전문사례관리 매뉴얼[비대면 사례관리 가이드편] |
0권 0호 ~ 0권 0호 |
서울시 정신질환자 자립생활주택 운영가이드 |
0권 0호 ~ 0권 0호 |
서울시 정신장애인 자립생활주택 시범사업 성과 분석 연구 |
0권 0호 ~ 0권 0호 |
서울시 병원기반사례관리 시범사업 2018-2020년 수행보고 및 성과분석 |
0권 0호 ~ 0권 0호 |
issue & brief |
1권 0호 ~ 2권 0호 |
2020년 서울지역 정신건강관련 기관현황집 |
0권 0호 ~ 0권 0호 |
2019 서울시 노인 지역사회자원 안내서 |
0권 0호 ~ 0권 0호 |
『그럴 수 있어, 괜찮아』 초발정신질환가족 대처전략 매뉴얼 |
0권 0호 ~ 0권 0호 |
서울시 정신보건센터 사업보고서 |
2019권 0호 ~ 2019권 0호 |
|
24권 2호 ~ 24권 2호 |
정신병리학 |
24권 1호 ~ 24권 1호 |
|
24권 1호 ~ 24권 1호 |
우울증 그게 뭐예요 |
0권 0호 ~ 0권 0호 |
서울시 정신질환자 지원주택 운영매뉴얼 |
0권 0호 ~ 0권 0호 |
인지행동기반 사례관리 핸드북 |
0권 0호 ~ 0권 0호 |
인지행동기반 사례관리 워크북 |
0권 0호 ~ 0권 0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