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Korean Webtoons: Focusing on Subject Matter
10.22143/HSS21.10.1.8
I. 서론 Ⅱ. 소외자, 소수자들의 이야기 Ⅲ. 현재적 인식과 관계 맺기의 서사 Ⅳ. 결론: 마이너리티의 서사로서 한국 웹툰 참고문헌
이 논문에서는 웹툰 스토리텔링 관련 기존 논의가 스토리의 성분들을 밝히는 데는 소홀했음을 비판하고 스토리의 성분 중 하나인 제재의 특성을 구명하는 논의를 수행하였다. 웹툰이 하나의 서사라는 점을 전제할 때 웹툰 IP의 본질은 스토리이기도 하지만, 구체적으로는 스토리의 요소라고 보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이 논문에서는 기존 논의에서 다루어지지 않았던 『여중생A』와 『문유』 등을 중심으로 이를 구명하였다. 논의 결과 한국 웹툰 제재의 특성이 소외자, 소수자들의 서사이며, 현재적 문제를 새롭게 인식하고 이를 관계 맺기로 극복하려는 서사라는 점이 밝혀졌다. 따라서 한국 웹툰은 마이너리티의 서사라고 요약할 수 있다. 한국 웹툰은 소수자들, 소외자들, 소위 ‘찌질이’, 잉여들의 이야기를 많이 다루어 왔다. 이러한 특수성은 한국 웹툰의 제재적 특성을 밝히는 연구를 통해 잘 드러난다. 제재는 작품 창작과 기획, 교육자료 개발, 홍보 전략 수립 등 문화산업의 기조를 정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이므로, 이와 같은 연구는 미래 문화산업을 선도하고 문화산업의 기조를 정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In this paper, I criticized that the existing discussions on webtoon storytelling was negligent in revealing the elements of story, and carried out the discussion of research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matter. Assuming that webtoons is one of the narrative, the essence of webtoon IP is story, but I thought it would be appropriate to view them as an element of story. For this purpose, I choosed and studied these works, “Female middle school student, A” and “Moonyu” that were not discussed in the previous discussion. This paper reveal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webtoon subject matter is the narrative of the underprivileged and minority, and that it is the narrative that tries to overcome the current problems with a renewed awareness of them. Thus, the Korean webtoon can be summarized as the narrative of minority. Since subject matter is an essential factor in setting the keynote of the cultural industry, such as creating and planning works, developing educational materials, and establishing promotional strategies, such research will contribute to leading the future cultural industry and setting the keynote of the cultural industry.
I410-ECN-0102-2019-300-001191051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수시연구보고서 |
2020권 3호 ~ 2020권 6호 |
기초연구보고서 |
2020권 0호 ~ 2020권 0호 |
|
6권 1호 ~ 6권 1호 |
환경포럼 |
236권 0호 ~ 242권 0호 |
기본연구보고서 |
2020권 0호 ~ 2020권 0호 |
사업보고서 |
2019권 0호 ~ 2019권 0호 |
기초연구보고서 |
2019권 0호 ~ 2019권 0호 |
기본연구보고서 |
2019권 0호 ~ 2019권 0호 |
군사과학논집(구 공사논문집) |
71권 2호 ~ 71권 2호 |
|
24권 4호 ~ 24권 4호 |
입학전형연구 |
9권 0호 ~ 9권 0호 |
|
18권 3호 ~ 18권 3호 |
경상논집 |
40권 1호 ~ 40권 1호 |
|
23권 4호 ~ 23권 4호 |
|
24권 4호 ~ 24권 4호 |
|
2권 1호 ~ 3권 2호 |
|
26권 0호 ~ 26권 0호 |
한국예다학 |
9권 0호 ~ 9권 0호 |
|
1권 1호 ~ 4권 2호 |
|
3권 3호 ~ 3권 3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