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Economic Distress Experiences on Suicidal Ideation: Moderating Effect of Qualit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10.22143/HSS21.10.1.2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결 론 참고문헌
본 연구는 경제적 고통경험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대인관계의 질이 조절하는지 검증하기 위한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20대에서 60대까지 일반 성인 32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절회귀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조사 기간은 2014년 1월부터 2월까지이다. 연구결과 첫째, 경제적 고통경험은 자살생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경제적 고통경험이 많을수록 자살 생각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인관계의 질은 경제적 고통경험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대인관계의 질이 낮은 집단에서는 경제적 고통경험이 높아질수록 자살생각의 증가 또한 강하게 나타났으나, 대인관계의 질이 높은 집단에서는 경제적 고통경험이 증가해도 자살생각의 증가폭은 거의 완만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경제적 고통경험 대상자의 개입의 필요성과 대인관계의 질 향상을 위한 실천적 전략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oderating effect of qualit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between economic distress experiences and suicidal ideation. 326 adults in their 20's to 60's were utilized by analyzing moderated multiple regression. The research period is from January 2014 to Februar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e study showed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distress experiences and suicidal ideation. To be specific, the more economic distress experiences increased, the more suicidal ideation increased. Secondly, the results presented that qualit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moderated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distress experiences and suicidal ideation. The more economic distress experiences increased, the more suicidal ideation strongly increased in group of lower qualit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hereas, the more economic distress experiences increased, the more suicidal ideation mildly increased in group of higher qualit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Based on these findings, it was suggested that intervention for people who have economic distress experiences and practical strategy for qualit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s needed in social welfare practice.
I410-ECN-0102-2019-300-001184847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수시연구보고서 |
2020권 3호 ~ 2020권 6호 |
기초연구보고서 |
2020권 0호 ~ 2020권 0호 |
|
6권 1호 ~ 6권 1호 |
환경포럼 |
236권 0호 ~ 242권 0호 |
기본연구보고서 |
2020권 0호 ~ 2020권 0호 |
사업보고서 |
2019권 0호 ~ 2019권 0호 |
기초연구보고서 |
2019권 0호 ~ 2019권 0호 |
기본연구보고서 |
2019권 0호 ~ 2019권 0호 |
군사과학논집(구 공사논문집) |
71권 2호 ~ 71권 2호 |
|
24권 4호 ~ 24권 4호 |
입학전형연구 |
9권 0호 ~ 9권 0호 |
|
18권 3호 ~ 18권 3호 |
경상논집 |
40권 1호 ~ 40권 1호 |
|
23권 4호 ~ 23권 4호 |
|
24권 4호 ~ 24권 4호 |
|
2권 1호 ~ 3권 2호 |
|
26권 0호 ~ 26권 0호 |
한국예다학 |
9권 0호 ~ 9권 0호 |
|
1권 1호 ~ 4권 2호 |
|
3권 3호 ~ 3권 3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