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 중독은 개인적인 삶을 파괴하고 종교를 통한 극단적 억압과 폭력과 같은 사회적 문제를 발생시킨다. 기독교적 관점에서, 사람들이 하나님과의 관계가 아니라 개인의 삶을 통제하는 종교에 극도로 몰두할 때 신앙은 “해로운 신앙”이 된다. 해로운 신앙은 사람을 학대하고 조종하여 중독에 빠지게 한다. 종교 중독은 낮은 자존감, 상처받은 내면아이, 애착장애, 자기강박 등과 같은 개인적 요인과 현실도피, 자본주의적 구매욕구 등과 같은 사회적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이는 모두 외상의 문제와 연결되어 있다. 종교 중독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권위에의 복종으로 인한 삶의 극단적 수동성이다. 둘째, 권력 중독이다. 셋째, 감정의 고양(혹은 열광)을 위한 강박적인 종교행위이다. 넷째, 극단적 폐쇄성과 폭력성이다. 다섯째, 영혼의 학대로서 집단 압력이다.
영혼의 돌봄은 교회의 기본 사명이며, 치료라는 주제는 기독교 신학 전반에 걸쳐 흐르고 있다. 그러므로 한국교회는 종교 중독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문성을 갖추어야 한다. 이를 위해 다음의 두 가지 점에 주의를 해야 한다. 첫째, 종교 중독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한국교회의 연대와 협력이 절실히 필요하다. 둘째, 한국교회 속에 있는 종교 중독 친화적 요소에 대한 처절한 회개와 이를 위한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다. 오늘날 한국교회는 종교 중독의 문제를 제대로 해결하지 못한다면 서서히 몰락의 길을 걸어가게 될 것이라는 사실을 반드시 명심해야 한다.
Religious addiction destroys personal life and causes social problems such as extreme oppression and violence through religion. From christian point of view, faith becomes a “toxic faith”, when people are immersed in religion that controls the lives of individuals rather than their relationship with God. Religious addiction is caused by personal factors such as low self-esteem, wounded inner child, attachment disorder, self-obsession, and social factors such as escape from reality, and desire for material gains. Personal and social factors intensify religious addiction through interaction. These are mostly linked to the problem of trauma. The characteristics of religious addiction are as follows. First, it has the extreme passivity of life due to submission to authority. Second, it has power addiction. Third, it has an obsessive religious act for the emotional uplifting (or enthusiasm). Fourth, it has extreme closure and violence. Fifth, it has peer pressure as spiritual abuse.
Soul care is the basic mission of the church, and the theme of healing flows throughout Christian theology. Therefore, Korean churches should have expertise to solve the problem of religious addiction. To do this, we must pay attention to the following two points. First,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religious addiction, solidarity and cooperation of Korean churches are urgently needed. Second, it is necessary to thoroughly repent for friendly elements of religious addiction in Korean churches and to form a consensus on the church for this purpose. Today, the Korean church must keep in mind that if we can’t solve the problem of religious addiction, we will go gradually downhi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