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20세기 초(1930년대) 독일과 한국을 시대적으로 각인했던 근본 기분이 권태였다는 사실을 기분학 방법론을 통해 제시한다. 기분이 우리가 세계 속에 처해 있는 방식을 깨닫게 해 주는 실존범주로서 ‘거기에 있음 (Dasein)’의 일어남을 조율(調律)하는 것이라면, 근본기분(Grundstimmung)은 우리의 ‘거기에 있음’을 그 본질 바탕(Wesensgrund)에서 두루 조율하는 (durchstimmt) 기분을 말한다. 여기서 본질은 역사적으로 전개되어 온 ‘존재의 진리’를 말하고, 근거는 존재가 드러나는 자유로운 지평을 말한다.
권태는 서양에서 14세기 이전까지만 해도 종교적이고 도덕적인 죄로 취급되었고, 낭만주의 시기 전까지만 해도 귀족이나 성직자와 같은 상류층에게만 문제가 되는 현상이었다. 그런데 17세기 사상가 파스칼(B. Pascal)은 귀한 신분과 지위의 상징이었던 권태를 사람의 삶을 비참하게 만드는 원인으로, 즉 사람이 삶에 대한 열정과 관심을 모두 잃었을 때 피어나는 견디기 힘든 기분으로 보았고, 18세기 철학자 칸트(I. Kant)는 권태를 일을 해야만 하는 유일한 동물로서의 사람이 아무 할 일이 없을 때 빠져드는 기분이라고 말했다. 다음 세기에 쇼펜하우어(A. Schopenhauer)는 권태를 의욕의 근본인 ‘필요와 결핍’마저 제거되어 버린 무서운 공허 상태로 규정했고, 뷔히너(G. Buchner)는 권태가 사람이 참답게 살아갈 수 없는 왜곡된 사회적 상황으로부터 발원한다는 점을 밝혔으며, 키에르케고르(S. Kierkegaard)는 권태를 인간 실존의 근원으로 기술하고 있다.
20세기 초 하이데거(M. Heidegger)는 권태 현상이 인간적 실존 차원을 넘어 존재 역사적 지평과 관계한다는 사실을 철학적으로 드러냈고, 이상(李箱)은 식민지 조선에 살았던 자신의 삶이 극권태에 처해 있었음을 시적으로 노래했다. 우리는 독일과 조선이 처한 당시의 기분학적 시대상황을 당시의 몇몇 사상가들과 당시의 정치경제에 대한 분석을 통해 먼저 제시한 뒤 하이 데거와 이상(李箱)이 체험했던 근본기분으로서의 권태를 깨워냈다. 이로써 20세기 초 독일과 조선에 살았던 사람들의 삶의 양식이 권태로 규정될 수 있음이 드러날 수 있었다. 이 사실은 당시의 독일과 조선의 사람들이 급변하는 사회적 현실과 국제적 환경 속에서 아무런 결단도 할 수 없이, 그리고 아무런 목표도 설정할 수 없이 그저 무기력하게 시대의 흐름에 떠밀려 살아갈 수밖에 없었다는 것을 말해 준다.
This paper shows that it was boresome that prevailed both in Germany and South Korea in the early 20th century, through methodological approach of moodology. Mood, which makes us realize that we exist in the world, tunes up our Being(Dasein in German) and a prevailing mood(Grundstimmung in German) generally does so(durchstimmt) at a basic level, the extent of the truth of existence that historically has been proved.
Boresome had been considered a sort of sin in the west by the 14th century, and a problematic phenomenon of the upper class such as the nobility and the clergy by the Romantic Movement. However, B. Pascal, a thinker of the 17th century, started to think boresome, a symbol of the noblesse at that time, as a cause of leading one’s miserable life and a mood emerges when one lose all of his or her passion for life. Similarly, I. Kant, a thinker of the 18th thinker, saw boresome as a mood that only human can have, and said people become inert when they have nothing to do, since they can live on with things to do. In the next century, A. Schopenhauer defined boresome as a sense of emptiness, a horrible state in which there is no source of desire such as deficiency and need. Moreover, G. Buchner clarified that boresome rises from distorted social conditions where people cannot live like a decent human being and S. Kierkegaard explained inertia as a mood comes from a root of human existence.
In the early 20th century, M. Heidegger detailed the relationship boresome and historical prospect of human existence, more than just human being itself, from a philosophical point of view. Lee-sang, a poet of South Korea in the early 20th century expressed his extremely listless life in the age of Chosun, degenerated into the colony of Japan, in his poems.
I, in this paper, suggested some phases of the times both in Germany and Chosun Dynasty from a moodological view, with the analysis of politics, economics and thinkers of the two nations at that time. This helps arrive at a conclusion that it was boresome, the very same mood that both M. Heidegger and Lee-sang experienced then, that prevailed both in Germany and South Korea in the early 20th. Also, this shows that people back then from both nations just had to go with the ages, in which the world situation rapidly changed, and had to spend their days in a state of boresome without any determination or go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