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평창 패럴림픽 공연에서 무용전공자들의 무용관심도가 경험적 가치 및 재참가의사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밝히는 데에 연구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패럴림픽 문화공연 참가자를 모집단으로 설정하여 총 303부의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Windows SPSS 23.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빈도분석, 탐색적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적률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창 패럴림픽 공연에서 무용전공자들의 무용관심도가 경험적가치 모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관심도가 재참가의사 모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험적 가치의 하위요인 가운데 교육적가치, 심미적가치, 유희적가치가 재참가의사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경제적가치는 재참가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는 무용예술인의 다각적인 사회참여에 긍정적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The study identifies the effects of the interest in dance on the experiential values and willingness to re-participate of dance majors through participating in the cultural performances for the Pyeongchang Paralympics Games. To accomplish this objective, 303 copies of the survey were used on the participants to the cultural performances for the Paralympics as the population for the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terest of dance majors in dance, through participating in the cultural performances for the Pyeongchang Paralympics Game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all experiential values. Second, their interest in danc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all aspects of their willingness to re-participate. Third, the sub-factors of experiential values, namely educational values, aesthetics values, and entertaining value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willingness to re-participate, but the economic values did not.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helpful for the multilateral social participations of dancing arti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