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살롱의 시대적 변천 연구의 후속연구로서 살롱의 문화적 기능과 공간적 구성이 역사적인 관점에서 어떻게 변화되고, 해석되었는지에 관한 1차적 탐색연구이다. 살롱은 산업혁명 이후 개인의 경제적, 사회적 경험수준과 지적 정보 공유의 공간에 대한 사용이 높아지면서 현재까지 다양하게 해석되고 있다. 실제로 구글 트렌드에서 2004년부터 현재까지의 살롱검색에 대한 조사결과 ‘salon’ 용어의 관심도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영항으로 나타난 현시대 살롱 연구는 디지털 시대의 피로증과 공통의 관심사에 대한 공유와 소통 증가로 실제 공간과 가상공간에서의 이용 가치가 꾸준히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살롱 공간에 대한 이해와 연구가 필요하다. 연구의 범위는 살롱이 처음 나타난 르네상스 시기부터 현 시대까지의 살롱공간과 문화적 기능을 문화 해석학의 방법을 이용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은 첫째 살롱 공간의 해석을 위해 문화적 기능에 대한 이해와 살롱 공간의 발전 범주를 분류한다. 둘째, 살롱의 과거 문화적 공간들의 문헌 자료를 바탕으로 표현되는 문화적 기능과 그에 따른 유형을 분석하여 셋째, 살롱 문화적 기능에 따른 공간구성의 시대적 변화를 파악한다. 연구 결과로 살롱 초기 문화적 기능에 따른 시대적 변천은 일상문화공간의 살롱, 소비문화공간의 살롱, 예술문화공간의 살롱으로 전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살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초기 명확한 사적 공간에서 18세기 이후 목적을 가진 외부 공간으로 분리되고 현재는 공공영역의 복합 문화 콘텐츠에 따라 변화되는 유의어 개념을 가진 공간의 형태로 변화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살롱의 시대적 변천 연구, 살롱의 문화적 기능과 공간 변화, 살롱문화공간의 유형과 콘텐츠에 대한 3단계의 연구 중 2단계 연구로 앞으로 연구하게 될 살롱문화공간의 콘텐츠의 분석을 위한 연구에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Being a follow-up research of salons’ temporal changes, this research aims to conduct the first exploratory study on how salons’ cultural functions and spatial organization have changed and interpreted from the historical viewpoint.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each person’s level of economic and social experience has improved and use of space for intellectual information sharing has increased, resulting in different analyses on salons. In fact, the investigation by Google Trends on search of salons from 2004 to today shows that interest in the term of ‘salons’ has gradually increased. Therefore, the contemporary studies on salons have emerged due to such effect; salon space needs to be understood and analyzed, since the value of use in actual and virtual space is growing due to the increase in fatigue in the digital era and sharing and communications of common interests. As for the research scope, cultural hermeneutics was used for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space and cultural functions of salons from the Renaissance age when they first appeared to the present age. The research methods are as follows: First, understanding the cultural functions and categorizing the development scope of salons to interpret salon space. Second, analyzing the cultural functions presented based on literature data on the previous cultural space of salons and analyzing the resultant types. Third, identifying the temporal changes of space organization according to salons’ cultural functions. As a result, it was revealed that the temporal changes according to the cultural functions in the early stage developed in salons of private cultural space, salons of consumption cultural space, and salons of artistic cultural space. As time passes, salons that used to be definite private space in the early stage were separated as external space with purposes after the 18th century, and now they have changed to space with a synonymous concept that varies complex cultural contents of public areas. As such, being stage 2 research among the 3 stages of research on the temporal changes of salons, the cultural functions and spatial changes of salons, and the types and content of salon cultural space, this research has the purpose of suggesting the direction for studies for analyzing content of salon cultural sp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