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중국은 국제질서에서 점차 큰 역할을 담당하면서 이에 걸맞게 중국 특색(혹은 중국중심적)의 “천하체계”(Tianxia system) 이론을 구상하고 있다. 특히 자오팅양[趙汀陽]은 전통적 ‘천하’ 개념을 3000년 전 주나라의 시대에 대한 ‘실증적’ 해석에서 찾아 ‘중국식의 유교적 도덕성과 겸용보편주의를 갖춘 이상적인 세계 천하체계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그 이론의 핵심은 동아시아 국제질서체계가 필연적으로 중국을 중심으로 하는 계서적이자 호혜적인 관계를 성립하고 유지한다는 주장인데 이는 동아시아 전통시대의 ‘조공관계’를 연상하게 한다.
‘중국’이라는 개념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오랜 기간 진행된 정치적 타협과 문화적 교류의 산물이었다. 그러나 “천하체계”와 “조공관계” 이론에서 ‘중국’이란 개념은 역사성과 다양성의 의미를 상실하게 된다. 동아시아 국제관계사에 보이는 “맹약체제” 혹은 “다원적 국제관계”는 천하체계 이론의 비역사성을 보여준다. 결국 전근대 동아시아 국제관계 연구에서 문화론적 천하체계와 조공체제라는 일방적 시각을 넘어 지정학적 세력균형과 실리주의 등 다양한 이론과 ‘주변’의 입장을 반영하고자 하는 노력이 요구되는 것이다.
As China plays a larger role in today’s international relations, Chinese scholars are formulating China-centered theory that draws on East Asian historical tradition. Zhao Tingyang has proposed the “Tianxia system” theory of East Asian world order that is China-centered, hierarchical, and mutually beneficial. This framework is very similar to the traditional notion of tribute relations.
The Tianxia system theory may provide new insights and clues for the world view and foreign policies of Han Chinese dynasties, but in reality China was often merely one of many states that participated in multi-centered world order. The historical concept of “China” was also a product of political compromises and cultural interactions, but it loses its historical and wide-ranging connotations in the “Tianxia system.” The “treaty relations” in the multi-centered world order in East Asia illustrate the collapse of the ideal of the tribute system and further highlight unhistoricity of the Tianxia system theory. The perspectives of the “periphery” must be incorporated in the study of premodern East Asian interstate rel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