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42
216.73.216.142
close menu
KCI 등재
재정패널을 이용한 우리나라 가구의 경조사비 지출과 경조사 수입 간의 관계 분석
The Empiric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nditure and the Revenue of the Family Events in South Korea using NaSTaB
손혜림 ( Hyelim Son ) , 송헌재 ( Heonjae Song )
재정학연구 11권 4호 147-166(20pages)
UCI I410-ECN-0102-2019-300-001132969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개인의 삶에서 발생하게 되는 지출 중, 경조사로 인한 비용은 비교적 짧은 기간에 큰 지출을 야기함으로써 가구 소득에 부의 충격(negative income shock)으로 작용한다. 우리나라의 경조사 부조금 문화는 이러한 경제적 위험을 완화시켜주기 위해서 사회 내에서 자발적으로 생성된 보험제도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경조사비 지출은 가구 지출에서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에 보험이 제대로 작동되지 않는 경우에는 비효율성을 초래하게 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가구에서 경조사 부조금 지출액과 경조사 수입액의 상관 관계를 실증 분석하여 경조사 부조금이 사회 보험으로서 적절하게 작용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재정패널을 이용하여 10년 치 누적액수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경조사 수입이 있는 가구의 경우, 경조사 지출액은 경조사 수입액을 완전 보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South Korea, familial events, such as marriage ceremonies or funerals are not only attended by a small group of family and friends, but also acquaintances from work or school. A unique cultural practice when invited to such events is that one gifts cash to the invitee. Because an individual is often in many groups of social network, the total amount of cash gifts one makes annually is non-trivial. In this paper, we study whether this cultural practice of cash gifts serves as a social insurance to negative income shocks when one finances their own large family events. Using National Survey of Tax and Benefit, we estim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ehold’s 10 year cumulated revenue from own familial event and 10 year cumulated expenditure for other household’s familiar events. We find an evidence of full insurance, which is surprising given that this practice is cultural, and is not legally binding.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Ⅲ. 분석 자료
Ⅳ. 분석 결과
Ⅴ. 결 론
참 고 문 헌
<부 록>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