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Perspective and Element of Good Teaching: Focusing on the Analysis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10.22143/HSS21.9.5.10
I.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가 인식한 좋은 수업의 관점과 요소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를 조사하고, 좋은 수업을 수행하기 위해서 지원과 개선이 필요한 내용을 분석하는데 있다. 159명의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대응표본 t검정, IPA 매트릭스 분석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가 인식한 좋은 수업의 관점과 좋은 수업의 요소에서 중요도와 실행도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좋은 수업의 요소에서 우선 지원되어야 할 내용에는 교육내용 1개, 교육방법 4개인 것으로 나타났다. 장기적인 개선이 요구되는 내용으로는 교육내용 2개, 교육방법 3개, 교육평가 6개가 포함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육에서 좋은 수업을 실행하기 위한 기초적 정보를 제공하며, 현장에서 보다 좋은 수업을 실천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good teaching in its perspectives and elements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analyze the content requiring support and improvement to provide good teaching. For this purpose,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of 159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collected data was put into the frequency analysis, paired-samples t-test, and IPA matrix analysis with the SPSS 21.0 program.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good teaching in its perspectives and elements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secondly, one educational content and four educational methods needed priority support in the elements of good teaching. Long-term improvement was required for two educational contents, three educational methods, and six educational assessments. These findings will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provide good teach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ontribute to implications for the practice of better teaching in the field.
I410-ECN-0102-2019-300-001188269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수시연구보고서 |
2020권 3호 ~ 2020권 6호 |
기초연구보고서 |
2020권 0호 ~ 2020권 0호 |
|
6권 1호 ~ 6권 1호 |
환경포럼 |
236권 0호 ~ 242권 0호 |
기본연구보고서 |
2020권 0호 ~ 2020권 0호 |
사업보고서 |
2019권 0호 ~ 2019권 0호 |
기초연구보고서 |
2019권 0호 ~ 2019권 0호 |
기본연구보고서 |
2019권 0호 ~ 2019권 0호 |
군사과학논집(구 공사논문집) |
71권 2호 ~ 71권 2호 |
|
24권 4호 ~ 24권 4호 |
입학전형연구 |
9권 0호 ~ 9권 0호 |
|
18권 3호 ~ 18권 3호 |
경상논집 |
40권 1호 ~ 40권 1호 |
|
23권 4호 ~ 23권 4호 |
|
24권 4호 ~ 24권 4호 |
|
2권 1호 ~ 3권 2호 |
|
26권 0호 ~ 26권 0호 |
한국예다학 |
9권 0호 ~ 9권 0호 |
|
1권 1호 ~ 4권 2호 |
|
3권 3호 ~ 3권 3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