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ultural and Economic Meaning of ‘Documenta’ in Kassel, Germany
10.22143/HSS21.9.5.5
I. 서론 Ⅱ. 독일 카쎌 도쿠멘타의 문화경제적 의미 Ⅲ. 카쎌 도쿠멘타의 문화경제적 시사점 Ⅳ. 결 론 【참고문헌】
본 연구의 목적은 독일 카쎌 지역 ‘도쿠멘타(Documenta)’의 문화경제적 의미를 살펴보고 변화하는 지구화 시대의 도시문화정책의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그동안 미술작품 중심으로 주목되어온 독일 카쎌 ‘도쿠멘타’를 경제 그리고 문화의 상호연관성 속에서 고찰한다. 도쿠멘타는 도시안의 주민들과 지역정치가들이 지역문제에 대해 목소리를 내고 지역문제 해결에 고무되는 시민의식의 발전 계기로 작용하였다. 경제적 측면에서 도쿠멘타는 서비스산업, 호텔 숙박업 등 소득 창출과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였다. 문화적 측면에서 도쿠멘타는 아방가르드 예술을 둘러싼 미적 가치평가와 사회적 역할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도시문화정책과 관련하여 도쿠멘타가 함의하는 바는 문화와 경제의 다원화된 지구적 교류의 차원을 고려하고, 지구지역화, 즉 지구화와 지역화를 연결시키는 방향으로 모색되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ltural and economic meaning of ‘Documenta’ in Kassel Germany and to discuss the direction of urban cultural policy in the changing globalization era. In this paper, we examine Kassel ‘Documenta’, which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as an art work, in the interrelationship of economy and culture. Documenta worked that the townspeople and local politicians voiced their opinions on local issues and it served as a catalyst for the development of civic consciousness that encouraged local problem solving. From an economic point of view, Documenta contributed to income generation and job creation, including service industry and hotel accommodation. From a cultural point of view, it raises controversy about the aesthetic valuation and social role surrounding avant-garde art. In the context of urban cultural policy, what Documenta implies is to take into account the dimension of globalized exchanges of culture and economy, and to find ways to link the glocalization, that is,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I410-ECN-0102-2019-300-001185546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수시연구보고서 |
2020권 3호 ~ 2020권 6호 |
기초연구보고서 |
2020권 0호 ~ 2020권 0호 |
|
6권 1호 ~ 6권 1호 |
환경포럼 |
236권 0호 ~ 242권 0호 |
기본연구보고서 |
2020권 0호 ~ 2020권 0호 |
사업보고서 |
2019권 0호 ~ 2019권 0호 |
기초연구보고서 |
2019권 0호 ~ 2019권 0호 |
기본연구보고서 |
2019권 0호 ~ 2019권 0호 |
군사과학논집(구 공사논문집) |
71권 2호 ~ 71권 2호 |
|
24권 4호 ~ 24권 4호 |
입학전형연구 |
9권 0호 ~ 9권 0호 |
|
18권 3호 ~ 18권 3호 |
경상논집 |
40권 1호 ~ 40권 1호 |
|
23권 4호 ~ 23권 4호 |
|
24권 4호 ~ 24권 4호 |
|
2권 1호 ~ 3권 2호 |
|
26권 0호 ~ 26권 0호 |
한국예다학 |
9권 0호 ~ 9권 0호 |
|
1권 1호 ~ 4권 2호 |
|
3권 3호 ~ 3권 3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