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217.237.68
18.217.237.68
close menu
KCI 등재
금연구역 가이드라인 및 실외 흡연실 해외 동향
Overseas Trend of Non-Smoking Area Guidelines and Outdoor Smoking Room
노진원 ( Jin-won Noh ) , 이예진 ( Yejin Lee ) , 유기봉 ( Ki-bong Yoo ) , 윤진하 ( Jin-ha Yoon )
UCI I410-ECN-0102-2018-500-004110230

연구목적: 실외 금연구역 가이드라인과 실외 흡연실에 대한 해외 동향을 사례중심으로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에 적합한 실외 흡연실 모델을 도출 및 제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더 나아가, 간접흡연의 감소효과와 금연정책의 효과평가를 위한 근거 자료를 확보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연구방법: 금연구역 정책을 시행하고 있는 해외 주요 국가의 금연구역 가이드라인과 실외 흡연실의 사례를 분석하여 얻어진 정보를 분석하여 재구성하고 개념화하는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연구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여러 개의 사례를 통해 반복적으로 논리를 확인해가는 다중 사례 연구 방법을 채택하였다. 연구결과: WHO FCTC 8조 가이드라인 및 해외의 금연구역 개념을 검토한 결과, 금연구역 및 담배로부터의 보호는 담배 행위 및 담배로 인한 노출로부터 흡연자 및 비흡연자를 보호하기 위한 적극적 해석을 원칙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금연구역 설정을 위한 공간적 개념은 대부분 실내를 넓은 의미로 확정하여 지붕이 있는 공간으로, 밀폐공간은 사면 중 25~75% 벽면으로 둘러싸여 있는 경우로 정의하였다. 또한, 공공장소는 소유권이나 소유자의 접근 권리에도 불구하고 일반인들이 접근 할 수 있는 공간이거나 단체가 사용하고 있다면 공공장소로 정의 내려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해외의 금연구역 가이드라인을 분석한 결과, 금연구역 및 담배로부터의 보호는 담배 행위 및 담배로 인한 노출로부터 흡연자 및 비흡연자를 보호하기 위한 적극적 해석을 원칙으로 하였으며, 각 개념의 해석과 적용은 국가별, 또는 같은 국가에서도 지방정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결론: 금연구역 정책의 유지 및 확대를 위하여 과학적 근거를 기반으로 한 담배연기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시설이 요구되며, 모든 실내에서 완전 금연을 달성할 수 있는 정책이 제시되어야 한다. 금연 정책의 성취, 이행, 효과에 대한 철저한 감시 및 평가가 수반되어야 하며, 유해한 담배연기로부터 비흡연자를 보호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의 마련이 요구된다. 또한 정책을 유지할 수 있는 사회적인 지지체계가 구축되어야 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overseas trend of non-smoking area guidelines and outdoor smoking room based on case study method, and to present the outdoor smoking room model suitable for South Korea. Methods: This case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and conceptualize the implementation and expansion of non-smoking area policies, focusing on cases of outdoor non-smoking area guidelines and outdoor smoking roon in major foreign countries. In order to secure the credibility and validity of the results, this study adopted a Multiple Case Study that repeatedly confirm several cases.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WHO FCTC Article 8 guideline, non-smoking area is based on the principle of active interpretation to protect smokers and nonsmokers from exposure to tobacco smoke. Most of the spatial concepts for outdoor smoking room are defined as a space with a roof defined by a broad sense of the interior.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non-smoking area guidelines and outdoor smoking room in foreign countries, th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the concept of the outdoor smoking room differed according to the national or local government, and it was found to be characteristic of each countries. Conclusion: In order to maintain and expand the non-smoking area policies, a scientific facility is required which can completely eliminate smoke, and a definite policy should be provided to achieve complete smoking cessation in all indoors. The policy monitoring and evaluation should be accompanied on the achievement, implementation and effectiveness of the smoking cessation policies. It is necessary to provide specific measures to protect from harmful smoke. There should be a social support system that can maintain the policie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고찰 및 결론
감사의 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