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141.21.106
3.141.21.106
close menu
KCI 등재
<삼공본풀이>에 나타난 공간의 의미 -‘집’을 중심으로-
The Meaning of the Space that is Showed in Samgong-bonpuri : through ‘Home’
김미숙 ( Kim Mi-sook )
구비문학연구 25권 419-443(25pages)
UCI I410-ECN-0102-2018-700-003724990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인간에게 있어 ‘집’이라는 공간은 단순히 몸을 붙이고 사는 건축물에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라 가족들과의 유대가 실현되는 삶의 터전이므로 생명과 같은 부분이다. 그러므로 집이라는 공간은 어느 지역에 위치해 있던 형태며 수준이 어떠하던, 생명의 터전이며 그 사람의 正體性에 비길 수 있는 곳이다. 특히 가부장제가 성행하던 과거의 여성들에게는 더 더욱 집을 떠난다는 것은 목숨을 내어놓는 일과 다름없었을 만큼 집은 소중한 공간이었다. 이 논문에서 텍스트로 선택한 <삼공본풀이>에는 그러한 정황이 잘 나타난다. 가부장적 사회의 한 부분이던 가믄장아기가 그것을 거부하고 집에서 쫓겨나와 ‘공간의 상실’의 상황에 처하게 되고, 재와 산을 넘어 비초리초막에 이르러 남편감을 만나 그의 마 밭에서 금은보화를 찾아 부자가 된 것은 自己正體性획득의 디딤돌을 찾은 것이며, 나아가 가믄장아기 자신의 집을 짓고 자신을 쫓아내 공간의 상실을 만들게 했던 부모님을 만나 화해하는 그녀의 집은 자기정체성을 획득한 과정에 놓인 공간이 바로 ‘집’인 것이다. 이처럼 가믄장아기가 살거나 머물렀던 이 집들은, 그녀를 둘러싸고 있는 공간의 일부이면서도 각각 다른 분리된 공간으로 그 의미가 다른 특색을 가지고 있다. 그런 점에서 이 텍스트에 나타난 집의 정체성은 ‘富’이고, 그것은 가믄장아기를 통해 실현되므로, 집은 가믄장아기의 정체성과 같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이유로 그녀는 자신만의 ‘공간 만들기’에 힘썼던 것이다. 기존의 연구들은 <삼공본풀이>가 가믄장아기의 자아완성을 이룩했다는 점 말고는 다른 장르와 관련성이라든지, 인물대비, 어휘ㆍ숫자에 관련된 점에 대해 많은 연구를 진행시켜왔다. 그러나 가믄장아기가 뭇사람들의 선망의 대상인 부자 되는 것과 가부장제를 벗어나 자신의 독립의지를 이룬, 즉 자아완성의 과정 사이에 있던 공간, 특히 집에 대해서는 관심을 두지 않았다. 이 논문에서는 이 점에 천착하여 가믄장아기가 富를 이루고, 아버지 그늘에서 벗어나 독립하고, 자신을 배척한 부모와의 화해라는 자아완성의 터전이 ‘집’이라는 공간에 있음을 밝히려 한다. 그 만큼 공간, 특히 집은 <삼공본풀이>에서 한 개인을 완성하는데 바탕이 되는 중요한 공간이라 하겠다.

‘The home’ is our life because it gives us the bond between our family as well as our quarters. Therefore our home is unrelated to the location and shape, level of house, and is compared to our identification. Expecially women couldn’t get out of their home in patriarchal days, since it was an important place like their lives. It shows us well in Samgong-bonpuri. A woman called Gameunjangagi met her husband in the Bichori cottage after having been out of her home in patriarchal days. And she came to wealth after having discovered gold and silver there. So she could not only build her own house but also compromise with her parents the yam-field. Her house means not a simply house but the place she can get a steppingstone for her identification through processes of her life. The identification of home means ‘wealth’ in this text and it can be equal to the identification of Gameunjangagi because it was realized by her. Owing to these reasons she tried to make her own space. The existing researchers have studied Samgong-bonpuri that includes relations between other genres or a character comparison and vocabularyㆍnumber, except that Gameunjangagi accomplished the perfection of self. But they didn’t have an interested in Gameunjangagi who made a fortune and the home where she achieved her independ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Gameunjangagi who came to wealth and freed herself from bondage of her father, and that she could accomplish the perfection of self and effect a reconciliation with her parents through ‘the home’. In particular this study shows us that the home is important necessaries of our life that are based on complicating the self in Samgong-bon puri.

1. 서론
2. 미완성과 완성의 공간으로서의 ‘집’
3. <삼공본풀이>를 통해 본 ‘집’의 의미
4.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