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 to Improve Communication of Civil and Public Local Leaders at Kori Nuclear Power Plants?
10.23875/kca.26.2.2
1. 서론 2. 기존 연구와 이론적 논의 검토 3. 연구 문제와 연구 방법 4. 분석 내용 5. 결론 참고문헌
원전 정책이 경제성과 안전성을 확보하며 성공적으로 추진되려면 시민과 정부, 한수원, 언론 등의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이 요구된다. 이 글은 고리원전 지역의 원전 커뮤니케이션의 문제점을 확인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지역사회의 민간과 공적 지도자를 대상으로 심층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긍정적 정보와 부정적 정보의 유통 과정을 파악하고, 두 집단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밝히고, 개선방안을 제안했다. 첫째, 긍정적 정보의 유통 과정에서 정보원인 한수원과 친원전 그룹의 신뢰도가 높지 않았고, 공적 지도자와 한수원은 주민의 의견과 반응을 적극적으로 수용했다. 둘째, 부정적 정보의 유통 과정에서 미디어의 뉴스와 반원전 단체가 주요 정보원이지만 공적 지도자는 이들 정보를 제한적으로 수용했다. 셋째, 원전 커뮤니케이션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으로 한수원 중심의 정보원 구조를 탈피하고, 시민과 주민 지도자 그리고 원전에 대한 찬반단체가 참여하는 협의체, 주민 단체 등으로 넓히고, 메시지에 충분한 정보를 쉬운 용어로 신속하게 전달하고, 정기적 쌍방향 소통을 추구하고, 다양한 입장의 지도자와 주민을 만날 것을 제안했다.
Fukusima nuclear disaster accidents in 2011 and earthquakes near Gyeongju and Pohang since 2016 has made additional nuclear power plants building very difficult. This study tries to find communication characters between civil and public local leaders at Kori nuclear power plants. The research method is depth interview with local leader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ffirmative sources such as the Korea Hydro & Nuclear Power Co. a state-run nuclear power plant operator and pro-nuclear power group have less credibility to their information. While public local leaders actively respond to public opinion, residents have dual stances : formal dissent and informal consent to nuclear power policy. Second, main negative sources such as media and antinuclear rally have less credibility to public local leaders because of their getting information from local government and the Korea Hydro & Nuclear Power Company. Lastly, effective interactive two way communication of nuclear power plant will be achieved by fast and easy messages, and diverse information sources including pro and anti local residents and leaders,
I410-ECN-0102-2018-300-003757524
I410-ECN-0102-2018-300-003757524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
49권 2호 ~ 49권 2호 |
|
19권 2호 ~ 19권 2호 |
|
120권 0호 ~ 120권 0호 |
|
66권 0호 ~ 66권 0호 |
|
42권 3호 ~ 42권 3호 |
현대사회과학연구 |
22권 0호 ~ 22권 0호 |
|
33권 0호 ~ 33권 0호 |
|
43권 0호 ~ 43권 0호 |
|
12권 3호 ~ 12권 3호 |
|
15권 4호 ~ 15권 4호 |
|
44권 3호 ~ 44권 3호 |
|
50권 4호 ~ 50권 4호 |
노동사회 |
204권 0호 ~ 204권 0호 |
|
16권 2호 ~ 16권 2호 |
|
26권 4호 ~ 26권 4호 |
|
42권 0호 ~ 42권 0호 |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연구보고서 |
2006권 5호 ~ 2012권 1호 |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연구보고서 |
1997권 1호 ~ 2006권 4호 |
|
19권 4호 ~ 19권 4호 |
|
12권 3호 ~ 12권 3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 발행기관: 중앙대학교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법연구소
• 간행물: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 법(구 문화산업과 법) 11권1호
권호 다운로드시 해당 논문을 포함한 권호 전체 논문이 다운로드됩니다.
(40개 이상일 경우 1~40개까지)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