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사업체, 기업의 진입은 장기적으로 고용 및 생산성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 경제의 성장, 특히 노동시장과 고용 양상의 변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사업체 및 기업체 단위에서의 고용 변화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통계청의 광업·제조업 통계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제조업 사업체의 진입, 퇴출, 확장 및 축소 등을 통한 일자리 창출과 소멸 양상이 경기국면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본다. 또한, 경기변동에 따른 일자리 창출과 소멸양상이 사업체의 규모에 따라 달라지는 정도를 분석한다. 제조업 사업체의 경우 비록 소규모 사업체의 일자리 창출률은 높으나 일자리 소멸률 또한 높아, 지속적인 고용 성장으로 이어지지 못하는 한계가 보였다. 특히 5인 이상 10인 미만의 사업체는 중규모의 사업체에 비해 경기변동에 좀 더 민감하게 반응한 것으로 나타났다.
Startup and entry of firms have an important role in long run employment and productivity growth. Analyzing job creation and destruction patterns at the plant- or firm-level is crucial in understanding the growth process in labor market and changes in employment pattern. We use Korean Mining and Manufacturing survey from Statistics Korea to analyze job creation and destruction patterns via entry, exit,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manufacturing plants over the business cycle. In particular, we focus on differences in job creation and destruction patterns between small and large plants. While small manufacturing plants have higher job creation rates, the net employment growth remains relatively low due to the higher job destruction rates. We find that small plants with less than 10 employees respond more sensitively to the business cy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