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의 목적은 이익과 신뢰가 한미동맹, 보다 일반적으로 동맹의 안정적 유지 관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론적 검토와 정책적 함의를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글은 동맹이론에 대한 종합적 검토를 통해, 동맹이 우선적으로 국가 이익 실현에 기여할 수 있을 때 그 존재의 의미를 부여 받으며, 더 나아가 동맹국 사이의 상호신뢰가 이를 뒷받침할 때 동맹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또한 이글은 한미동맹을 둘러싼 구조적 환경, 한미 양국의 정체성과 이익이 변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한미 동맹에 대한 종합적이고 냉철한 검토를 수행한 뒤, 먼저 한미 양국의 이익을 모두 충족할 수 있도록 한미동맹을 조정하고, 그에 더하여 양국 간의 상호 신뢰를 강화하여 한미동맹을 안정적으로 유지 관리할 수 있는 전략을 모색하는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impacts of interests and trust on the stable management of security alliance, and suggests some strategic implications for the Korea-US alliance. It is argued in this paper, through the comprehensive consideration on alliance theories, that the alliance is likely to be more stable and continued when it could be in every member's interest and additionally is supported by mutual trust between members. This article also argues that we should first analyze comprehensively and realistically the Korea-US alliance, with changes in international structure and the identities and interests of two countries. Based on that, it is argued, we should alter and fine-tune the Korea-US alliance to meet and promote the interests of both countries. On top of it, we also should make efforts to develop strategies to strengthen mutual trust between two countries so as to manage the Korea-US alliance in a more stable w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