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Educational Method of Virtual Reality Contents Production in Visual production Major
이 글은 대학교육현장에서 영상관련 전공 학생들에게 가상현실 콘텐츠제작 교육의 필요성과 배경을 확인하고,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작성되었다. 가상현실은 인간의 역사에서 오래된 관심주제이며 그 흐름의 연장선으로 현재의 가상현실 콘텐츠를 이해해야한다. 가상현실 콘텐츠제작 교육은 인간과 기술, 실제와 허구에 대한 인식을 확장하는 좋은 학습기회가 될 것이다. 또한 현재 가상현실 콘텐츠 제작인력 양성은 사회가 대학에 요구하는 바이다. 그러나 너무 빠른 기술적 변화와 무르익지 않은 제작기술 연구, 대학에서의 융합적 태도 부족은 방해요소로 작동한다. 그러므로 영상전공에서 가상현실 콘텐츠 제작교육은 전방향 촬영방식을 중심으로 기본과 심화 과정으로 분리하여 진행하며 선택과 집중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기본 교육에서는 소비자형 장비를 중심으로, 기본적인 가상현실 개념, 제작 방식, 기초적 편집 등을, 심화교육에서는 전문화된 장비를 활용하여 움직임, 가상현실에 적합한 연출과 촬영방식, 다양한 영상요소의 합성편집 등을 교육하여야 한다. 나아가 영상전공이라고 하더라도 기본적인 3D 컴퓨터그래픽과 프로그래밍 교육을 통해 증강현실, 혼합현실 콘텐츠 제작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he necessity, background, and concrete plan for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production education to the video major students in the university field. Since the subject of virtual reality is an old subject in human history, the modern virtual reality contents production education at university will be a good learning opportunity to expand the awareness of human, technology, reality and fiction. In addition, the training of manpower to produce virtual reality contents is demanded by the society at university. But too rapid technological change, undefined production methods, and a lack of convergent attitude in college work as hindranc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lect and concentrate on the production of virtual reality contents in the video major by separating it into basic and deepening processes centered on omnidirectional shooting methods. Specifically, the basic education includes basic virtual reality concept, production method, basic editing, focusing on consumer type equipment. In deepening education, specialized equipment is used for movement, production suitable for virtual reality, Synthetic editing and so on. Furthermore, even if it is video major, it is necessary to prepare for augmented reality and mixed reality contents production through basic 3D computer graphics and programming education.
I410-ECN-0102-2018-600-004267948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연극평론 |
95권 0호 ~ 95권 0호 |
추계학술대회 발표자료집 |
2018권 0호 ~ 2018권 0호 |
|
59권 0호 ~ 59권 0호 |
|
39권 0호 ~ 39권 0호 |
|
36권 0호 ~ 36권 0호 |
연극평론 |
94권 0호 ~ 94권 0호 |
|
71권 0호 ~ 71권 0호 |
|
12권 2호 ~ 12권 2호 |
크리틱b |
1권 0호 ~ 1권 0호 |
한국드라마학회 정기학술대회 발표자료집 |
2019권 0호 ~ 2019권 0호 |
|
34권 0호 ~ 34권 0호 |
|
58권 0호 ~ 58권 0호 |
|
12권 1호 ~ 12권 1호 |
|
35권 0호 ~ 35권 0호 |
연극평론 |
93권 0호 ~ 93권 0호 |
|
70권 0호 ~ 70권 0호 |
|
57권 0호 ~ 57권 0호 |
|
34권 0호 ~ 34권 0호 |
|
38권 0호 ~ 38권 0호 |
연극평론 |
91권 0호 ~ 92권 0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