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1947년 트루먼 독트린과 코민포름의 창설로 시작된 냉전 초기부터 1960년대까지 프랑스 반핵운동의 사회문화적 양상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냉전 초기 프랑스의 대표적 반핵운동 단체인 <평화운동>의 기원에 대해 살펴보고, 프레데릭 졸리오-퀴리를 포함한 레지스탕스운동가들이 반핵운동가로 돌아서게 된 이유, 그들과 프랑스공산당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어 3장에서는 1950년대 소련의 대외정책을 지지하기 위해 조직된 <평화운동>이 `스톡홀름 호소` 이후 평화공존 원칙과 알제리전쟁의 영향으로 퇴조해가는 과정, 그리고 1960년대에 기존의 핵무기 반대운동에서 환경운동으로 이행해가는 다양한 반핵운동의 사회문화적 양상을 고찰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ocial and cultural aspects of the French anti-nuclear movement from the early Cold War era beginning with the creation of the Truman Doctrine and the Cominform (1947 to the 1960s). To this end, Chapter 2 explains the origin of the Mouvement de la Paix, a representative anti-nuclear movement of France early in the Cold War, and clarifies the reason why resistance activists, including Frederic Jolio-Curie, turned into anti-nuclear activists, while also exploring their relationship with the PCF. In Chapter 3, we look into the social and cultural implications of anti-nuclear movements in French society by examining the process of decline of the Mouvement de la Paix. The movement was organized to support the Soviet foreign policy in the 1950s, based on the principle of peaceful coexistence and under the influence of the the Algerian War and the `Stockholm Appeal.` In the 1960`s, a pattern emerged of various anti-nuclear movements transitioning from anti-nuclear weapons to an environmentally based mov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