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about Cross-Cultural Competence in Adaptation Process and Factors of Reverse Culture Shock
본 연구는 재입국자의 역문화 충격에 대한 구조적 요인을 규명하고 나아가 역문화 충격 적응과정에서의 비교문화역량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재입국자의 역문화충격 요인을 환경, 사회경제, 문화, 가치관,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의 5가지로 세분화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 대기오염과 소음, 난폭운전, 고물가, 폭음ㆍ만취문화를 비롯하여 집단주의, 경쟁의식, 배려부족의 가치관이 역문화충격의 주요 요인임이 밝혀졌다. 또한 주관적, 일방적, 권위적 커뮤니케이션과 함께 신체접촉과 시선의 비언어에 대한 역문화 충격이 크게 두드러졌다. 역문화충격 적응과정에서의 비교문화역량은 `자문화 성찰과 타문화이해`는 물론 `문화의 보편성`을 추구함으로써 `문화다양성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강화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통해 재입국자들이 역문화충격 과정에서 발생하기 쉬운 문화갈등을 최소화 함으로써 비교문화역량의 향상을 도모하고 역문화충격의 긍정적 요인에 대한 단초를 제공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The repeated experience of emigration and immigration over the cultural border improves the Cross Cultural Competence experience while it also produces problems of Reserve Culture Shock because of the psychological changes caused by an unfamiliar culture. It is because the prediction for different cultures is possible when anticipating a culture shock when you go abroad and it is relatively easy to adapt to Cross Cultural Competence. However, in the case of immigration back to your own country, this kind of prediction is never made. It can`t be emphasized enough that the importance of Reserve Culture Shock, an immigrating Korean, becoming an `alien in their own hometown` and having trouble with Reserve Culture Shock when you consider that the number of students and citizens abroad, and diplomats and other overseas professionals is increasing with globalization. Despite the effectiveness of Cross Cultural Competence during the adaptation of Reserve Culture Shock, there isn`t enough research concerning Reserve Culture Shock in Korea. Therefore, this study promotes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activating Reserve Culture Shock ability by investigating the level of Cross Cultural Competence during the re-immigration adaptation of Reserve Culture Shock. It is also expected that it will expand the horizon of improved awareness of Reserve Culture Shock, supported by the advances from existing research, and its educational value will be elevated by researching Reserve Culture Shock in an academic paradigm and the correlation with Cross Cultural Competence simultaneously.
I410-ECN-0102-2018-300-000378865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
48권 0호 ~ 48권 0호 |
|
29권 2호 ~ 29권 2호 |
|
11권 2호 ~ 11권 2호 |
|
25권 3호 ~ 25권 3호 |
|
22권 3호 ~ 22권 3호 |
|
123권 0호 ~ 123권 0호 |
|
69권 0호 ~ 69권 0호 |
|
123권 0호 ~ 123권 0호 |
|
32권 1호 ~ 32권 1호 |
|
51권 3호 ~ 51권 3호 |
|
27권 2호 ~ 27권 2호 |
|
27권 3호 ~ 27권 3호 |
|
47권 0호 ~ 47권 0호 |
|
13권 2호 ~ 13권 2호 |
|
13권 2호 ~ 13권 2호 |
|
43권 2호 ~ 43권 2호 |
|
45권 2호 ~ 45권 2호 |
|
20권 3호 ~ 20권 3호 |
|
74권 0호 ~ 74권 0호 |
|
122권 0호 ~ 122권 0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