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예비 놀이치료자들이 인식한 치료 태도(일치성, 공감, 무조건성, 존중)의 변화가 어떠한가를 알아보고, 치료 태도의 변화와 내담아동의 진보 및 놀이치료 성과는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놀이치료 실습 과목을 수강한 두 명의 석사 과정생과 그 내담아동들을 선정하여 단일 사례 연구로 진행하였다. 치료 태도의 인식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치료자는 매 회기 후 Barrett-Lennard Relationship Inventory: Form MO-40(BLRI: MO-40)를 작성하였다. 아동중심 놀이치료의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총 3회에 걸쳐 내담아동의 모에게 CBCL 6-18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시각적 분석, 선형회귀분석, 질적 분석을 하였다. 치료자들은 큰 폭의 변동성을 보이면서, 일치성, 공감, 무조건성의 수준과 경향성이 증가하였다고 인식하였다. 내담아동들은 놀이행동에서 진보를 나타내었고, 주호소 문제와 CBCL 6-18의 수치가 감소되었다. 본 연구는 초심학생단계에 속하는 예비 놀이치료자의 일치성, 공감, 무조건성, 존중이라는 치료 태도의 인식 변화 과정과 내담아동의 치료적 진보 과정을 치료 성과와 연관하여 이해하고자 한 탐색적인 연구라는 것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perceptions of therapeutic attitudes (congruence, empathy, unconditionality, and regard) of play therapists-in-training. Additionally, therapeutic progress and outcomes of child clients in relation to such perceptional changes of therapeutic attitudes were analyzed. A single case design was utilized, and two therapist-child dyads were recruited. Perceptional changes of therapeutic attitudes was assessed with the Barrett-Lennard Relationship Inventory: Form MO-40 by therapists. The effectiveness of child-centered play therapy was assessed using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for Ages 6-18 by parents. Data was analyzed through visual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qualitative analysis. Over the first play therapy practicum during a graduate course, both play therapists-in-training perceived that the level and trend of congruence, empathy, and unconditionality increased, while the variability of those conditions fluctuated. Clients exhibited progress and showed a reduction in clinical levels of presenting problems. These findings suggest a number of implications to help promoting professional development of play therapists-in-training.